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패션

패션업계, '임플로이언서'에서 다시 연예인 엠베서더로 '리턴'

이랜드 뉴발란스의 글로벌 앰버서더 아이유 2024 가을 컬렉션 화보 이미지 사진 / 이랜드 뉴발란스

패션업계의 마케팅 흐름이 또 다시 바뀌고 있다. 제품 홍보에 자사 직원을 전면에 내세우는 '임플로이언서(직원+임플루언서)' 마케팅에 집중하다가 최근에는 자사 브랜드와 어울리는 연예인이나 영향력이 큰 인플루언서들을 중심으로 홍보를 이어가는 고전적인 마케팅 전략을 다시 펼치고 있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2024년 가을 겨울 시즌 신상품 출시를 앞두고 패션업체들이 연예인 및 인플루언서를 홍보 모델로 내세우는 등 과거 유명인 중심의 마케팅 전략을 다시 펼치고 있다.

 

배우 이동휘와 버커루가 함께한 2024년도 가을 캠페인 관련 화보 사진 / 버커루

실제로, 한세엠케이의 데님 브랜드 '버커루'는 이번 2024년 가을 겨울 시즌 신규 제품군 출시에 이동휘를 전속 광고 모델로 발탁했다. 가을 신규 상품군 출시에 맞춰 배우 이동휘와 함께 캠페인 화보 촬영을 진행해 선보인 것.

 

신세계인터내셔날의 라이프스타일 신발 브랜드 '어그' 역시 이번 가을 겨울 신제품 출시에 맞춰 뉴진스 하니와 함께 브랜드 캠페인을 진행하며 관련 화보 사진들을 공개했다.

 

하고하우스의 캐주얼 브랜드 '오아이오아이'는 이번 가을 겨울 시즌 신상 제품 홍보 모델에 배우 고민시를, 이랜드의 뉴발란스는 이번 신상품 공개와 함께 브랜드 모델인 아이유 화보를 함께 공개했다.

 

뉴진스 하니와 어그가 함께한 2024년도 가을 겨울 캠페인 화보 사진 / 신세계인터내셔날

업계 관계자들은 유명인 중심의 마케팅을 매출 성장의 핵심 견인 요소로 봤다. 신세계인터내셔날 관계자는 "올해 어그의 봄여름 시즌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60% 신장했다"며 "특히 샌들, 슬리퍼 등 하니가 신은 대부분의 컬렉션이 완판되며 폭발적인 인기를 얻었다. 어그와 하니의 만남이 브랜드 주 고객층인 2030세대들에게 긍정적인 반응을 불러일으킨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캐주얼 브랜드 오아이오아이 관계자 역시 "감각적이면서도 스타일리시한 브랜드 헤리티지를 보다 탄탄하게 구축하고자 배우 고민시를 모델로 발탁했다"며 "긍정적이면서도 트렌디한 매력으로 2030대 여성의 워너비로 떠오르고 있는 배우 고민시가 오아이오아이 컬렉션만의 컨템포러리 캐주얼 이미지와 부합한다고 판단했다"고 전했다.

 

불과 몇 달 전만 해도 '임플로이언서' 마케팅은 새로운 흐름으로 자리잡고 있었다. 임플로이언서 마케팅은 직원(employee)와 인플루언서(influencer)의 합성어로, 임직원들이 자사 제품 마케팅 홍보 활동에 직접 참여하는 것을 일컫는다. 과거 삼성물산, LF, 이랜드 등 주요 패션 기업들은 자사 유튜브를 통해 임플로이언서 마케팅을 활발히 진행한 바 있다.

 

다시 유명인 중심의 고전적인 마케팅 기법이 활성화된 배경에는 K패션을 찾는 외국인 비율이 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업계 관계자는 "유명인 중심의 브랜드 마케팅은 확실히 매출 성장에 효과적"이라며 "드라마, 연예인 등 K컬처에 관심이 많은 외국인들이 K패션도 찾기 때문에 그들에게 더 친숙하고 제품 브랜드와도 잘 어울리는 유명인을 제품 브랜드 모델로 발탁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K패션을 찾는 외국인 비중은 갈수록 늘고 있다. 일례로 무신사 스탠다드는 지난 6월 무신사 스탠다드 명동점의 글로벌 고객 매출 비중이 45%라고 밝힌 바 있다. 또 무신사는 지난 6일부터 8일까지 진행했던 '2024년 K-관광 로드쇼'에 참석해 대만에서의 K 패션의 성장 가능성도 확인했다고 전했다.

 

무신사 관계자는 "애초 목표했던 방문자 수보다 30% 이상 많은 대만 고객이 무신사 존을 방문해 성황을 이뤘다"며 "이 영향으로 팝업 운영 기간 무신사 글로벌의 대만 거래액은 일평균 대비 68% 증가했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