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증권일반

'ETF 수수료 인하' 랠리, 자산운용사 점유율 경쟁↑…투자자들 "낮은 수수료 환영해"

ETF 전체 시장 규모, 약 156조7849억 달해자
자산운용업계, 수수료 인하 통해 ETF 알리고 점유율 확보하려는 움직임 多

최근 국내 자산운용업계에서는 ETF 운영 보수를 내리는 회사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ChatGpt로 생성한 이미지

국내 상장지수펀드(ETF) 시장 규모가 150조원을 넘어 160조원을 향해 가는 가운데 국내 자산운용사들이 시장 점유율 확보에 총력전을 펴고 있다. 특히 특정 ETF 운영 보수(수수료)를 내리며 자사의 ETF 홍보에 열을 올리고 있는 모습이다. 투자자들에게는 희소식이지만 업계에서는 '출혈 경쟁'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4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1일 기준 ETF 전체 시장 규모는 약 157조 8970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동기 수치인 104조 6977억원보다 50.81%가량 증가한 규모다. 빠른 성장세를 보이는 ETF 시장 속에서 KB자산운용은 지난달 31일부터 'RISE ETF 13종'의 총보수를 기존 연 0.021~0.35%에서 연 0.01%로 낮추기로 결정했다.

 

대표적으로 ▲RISE 미국S&P배당킹 ▲RISE 글로벌자산배분액티브 ▲RISE 미국반도체NYSE ▲RISE 버크셔포트폴리오TOP10 ▲RISE 미국AI밸류체인TOP3Plus 등의 수수료를 기존 0.02∼0.35%에서 0.01%로 내렸다.

 

같은 날 키움투자자산운용도 ▲KOSEF 200 ▲히어로즈 리츠이지스액티브 ETF 2종의 보수를 연 0.52%에서 0.3%로, 0.13%에서 0.05%로 각각 낮췄다.

 

국내 자산운용사들의 수수료 인하 움직임은 ETF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삼성자산운용과 2위인 미래에셋자산운용의 대결구도에서 먼저 발생했다는 게 업계의 의견이다. 수수료 인하를 단행한 첫 회사는 삼성자산운용으로,지난 4월 미국S&P500%TR 등을 필두로 미국 대표 지수를 추종하는 ETF 4종의 총보수를 연 0.05%에서 연 0.0099%로 낮췄다.

 

삼성자산운용 측은 "수수료 인하로 점유율을 확보하는 게 목적이었다기 보다는 토탈리턴(TR) ETF를 투자자들에게 알리기 위해 '수수료 인하'를 홍보 수단으로 이용한 것"이라며 "TR ETF는 배당금을 분배하는 대신 자동으로 재투자해 복리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상품으로 장기 투자에 유리하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자산운용 업계에서는 삼성자산운용의 수수료 인하 행보를 ETF 시장 점유율 확보를 위한 공격적인 전략으로 판단한 모습이다. 이어 삼성자산운용의 뒤를 바짝 쫓고 있는 미래에셋운용도 'TIGER 1년은행양도성예금증서액티브(합성) ETF' 총보수를 단 0.0001% 낮춘 연 0.0098%로 인하한 바 있다.

 

투자자들은 이런 자산운용사들의 경쟁확산을 긍정적으로 보는 분위기다. 최근 ETF를 매수한 한 투자자는 "연금저축계좌에서 ETF를 굴리면 좋다는 이야기를 듣고 미국 지수를 추종하면서 수수료가 낮은 ETF를 구매했다"며 "금액이 높을수록 수수료도 커질 수밖에 없는데 운용사들의 경쟁은 환영할 만하다"라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당분간은 수수료 인하 랠리에 동참할 수밖에 없는 분위기가 이어질 거라고 전망했다.

 

한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결국 수수료를 낮추는 건 쉬워도 다시 높이기는 실현하기 힘든 일이기 때문에 한번 낮출 때 여러 가지를 고려한다"며 "모든 ETF 상품의 수수료를 낮출 수는 없고 '출혈 경쟁'이란 말이 나올 정도지만, 지금처럼 시장이 커지고 있을 때 점유율을 확보하는 것은 운용사들에게 중요한 부분"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