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업계

서울 아파트값 16주 만에 보합...매수심리 6주째 상승

한국부동산원 '주간아파트동향' 분석
송파 '리센츠' 84㎡, 1개월 만에 3000만원 올라
"매매가격, 전세 시장 상승세 유지 따라 연동될 전망"

서울 시내 아파트 모습./뉴시스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이 16주 만에 보합으로 전환했다. 매매수급지수의 경우 6주 연속 상승하며 살아나는 분위기다.

 

24일 한국부동산원의 '주간아파트동향'에 따르면 3월 셋째 주(18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보합(0.00%)을 나타냈다. 낙폭이 전주(-0.01%)보다 축소되며 지난해 11월27일 이후 16주 만에 하락세를 멈췄다.

 

권역별로는 강북권에서 종로구(-0.01%→0.02%)가 홍파·사직동, 서대문구(-0.02%→0.02%)는 남가좌·북아현동 대단지 위주로 오르며 상승으로 전환됐다. 도봉구(-0.03%→-0.04%)는 방학·쌍문동 구축, 강북구(-0.06%→0.03%)는 수유·번동 위주로 하락 흐름을 이어갔다.

 

강남권에서는 송파구(0.03%→0.04%)가 잠실·신천동 주요단지, 동작구(0.03%→0.05%)는 상도·노량진동 중소형 규모 위주로 상승세가 지속됐다. 구로구(-0.07%→-0.03%)는 고척·신도림동 구축, 관악구(-0.05%→-0.05%)는 봉천·신림동 위주로 떨어졌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정주여건에 따른 지역·단지별로 상승·하락의 혼조세를 보이면서 매수 문의가 소폭 증가했다"면서 "일부 단지에서 매도 희망가 상향 조정과 상승 거래가 발생하는 등 하락에서 보합으로 전환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서울 집값은 외곽 중저가 밀집 지역은 내림세를 보이고 있지만, 선호지역은 상승하고 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에 따르면 도봉구 방학동에 위치한 '북한산청호'는 이달 전용면적 59㎡가 4억7000만원에 거래됐다. 전달 매매가격(4억8500만원) 대비 1500만원 떨어졌다. 같은 기간 송파구 잠실동에 위치한 '리센츠'의 경우 전용면적 84㎡가 23억에서 23억3000만원으로 1개월 만에 3000만원 올랐다.

 

서울 지역의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6주 연속 상승했다. 3월 셋째 주(18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86.6으로 전주(85.7)보다 0.9포인트 상승했다.

 

매매수급지수는 한국부동산원이 중개업소를 대상으로 설문해 수요와 공급 비중(0~200)을 지수화한 수치다. 100을 기준으로 0에 가까울수록 집을 팔려는 사람이, 200에 가까울수록 사려는 사람이 많은 것을 의미한다.

 

윤지해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1~2월 서울 지역 거래량이 지난해 10~12월 대비 늘어난 가운데 강남, 서초 등 고가 지역들 중심으로 신고가 경신 사례들이 일부 발생했다"면서 "다만, 매매 시장 전반에서의 움직임들을 이끌지는 못한다는 한계점이 확인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전세 가격 움직임들이 상승 방향으로 강화되는 모습이 나타나는 만큼 향후 매매가격 상승세 여부는 선행지표로 통용되는 전세 시장의 상승세 유지에 따라 연동될 전망이다"라고 덧붙였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