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증권일반

"삼성전자, 메모리 반도체 흑자 구간 진입" -KB증권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사옥. /뉴시스

KB증권은 11일 삼성전자에 대해 메모리 반도체 흑자 구간 진입했다고 평가했다. 투자의견은 '매수', 목표주가는 9만5000원을 유지했다.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삼성전자의 1분기 메모리 반도체(DRAM, NAND) 영업이익이 2022년 3분기 이후 6개 분기 만에 흑자전환하고, 8단 5세대 고대역폭 메모리(HBM3E) 출하가 올 3분기부터 시작될 것으로 보여 고대역폭메모리(HBM) 경쟁력 우려가 완화된다"며 "파운드리 사업은 하반기부터 선단공정 가동률 상승으로 흑자전환이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김 연구원은 특히 올해 메모리 반도체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27조원 손익 개선이 추정된다고 평가했다. 그는 "DRAM은 웨이퍼 기준 최선단 공정(1a, 1b nm 등) 비중이 하반기에 40% 이상 확대될 것으로 보여 향후 수익성 개선을 견인할 수 있다"며 "NAND는 평균판매단가(ASP) 상승과 조 단위 규모의 재고평가손실의 이익 환입 등으로 전년 대비 12조원의 손익 개선으로 올해 흑자전환이 전망된다"고 내다봤다.

 

삼성전자의 1분기 영업이익에 대해서는 전년 대비 669% 급증한 4조9000억원을 예상했다. 메모리 반도체(DS), 스마트 폰(DX) 실적 개선이 돋보임에 따라 1분기 메모리 반도체 영업이익은 전분기 대비 2조3000억원 개선된 1조1000억원으로 2022년 3분기 이후 6분기 만에 흑자전환을 예상했다. 더불어 올해 실적에 대해서는 매출 305조원, 영업이익 33조원을 예상했다. 각각 전년 동기 대비 18%, 403%씩 증가한 규모다.

 

김 연구원은 "올해 메모리 반도체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보다 27조원 손익 개선이 가능하고, 3분기부터는 HBM3E 출하가 시작된다"며 "역대 최대 수주(160억 달러)를 기록한 파운드리 사업은 올 하반기부터 실적 회복이 예상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