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금융협회(IIF),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 현황
지난해 우리나라의 가계부채가 국내총생산(GDP)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42개국 중 4위 수준이다. 다만 가계부채가 빠르게 감소하고 있어, 올해 중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00% 아래로 떨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4일 국제금융협회(IIF)가 발표한 '세계부채 모니터링 보고서 및 데이터베이스'에 따르면 지난해 말 우리나라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00.1%로, 1년 전과 비교해 4.4%포인트(P) 하락했다. 전 세계 평균인 61.5%보다 1.5배 높은 수준이다. 홍콩(93.3%), 태국(91.6%), 영국(78.5%), 미국(72.8%)보다 높은 셈이다.
앞서 우리나라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지난 2020년 3분기 100.5%로 처음으로 100%를 넘어선 이후 2021년 105%까지 올랐다. 당시 부동산과 주식 호황기에 영끌(영혼까지 끌어 모은 투자)족이 늘면서 가계부채가 급격히 늘었다.
◆ 韓 가계부채 빠르게 감소…'세계 3위'
국가별로 살펴보면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스위스가 125.6%로 가장 높았다. 1년 전(126.4%)에 비해 0.9%p 하락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뒤이어 호주는 지난해보다 1.1%p 하락한 109.3%를, 캐나다는 0.5%p 상승한 102.1%를 기록했다.
가계부채 비율이 가장 많이 하락한 국가는 영국이었다. 영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비율은 2022년말 83.1%에서 2023년 말 78.5%로 4.6%p 하락했다. 우리나라는 가계부채 비율이 4.4%p 하락해 하락폭 3위를 기록했다.
업계 안팎에서는 가계부채 비율이 당분간 하락할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달 말 KB·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695조7922억원으로 지난해 말 대비 4779억원 증가했다. 하지만 5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액은 지난해 말 3조7616억원, 올해 1월 2조9048억원에서 2월 4779억원으로 증가폭이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 가계부채 '안정화'까진 아직 일러
다만 가계부채 비율이 100% 아래로 떨어지더라도 안정화됐다고 보기엔 이르다는 분석이 나온다.
앞서 한국은행은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80%를 초과할 경우 중장기뿐만 아니라 단기적으로도 성장을 둔화시키고 경기침체 발생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가계부채 비율이 신흥국 46.8%, 선진국 70.3%, 세계 전체 61.5%인 것으로 봤을 때 100% 안팎으로 떨어지더라도 여전히 높다는 설명이다.
한은 관계자는 "가계신용비율이 80%에 근접할 수 있도록 가계부채를 줄여나가는 것이 중요하다"며 "다만 가계부채 비율을 빠르게 낮출 경우 금융 불안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만큼 적절한 정책을 일관성 있게 유지하는 방식으로 감소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향후 가계부채 변수는 기준금리가 될 전망이다. 현재 연 3.50% 수준인 기준금리가 인하되면 대출 금리가 떨어진다. 이럴 경우 부동산 투자 수요가 꿈틀거리며 가계부채를 다시 자극할 우려가 높다는 분석이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