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정치>국회/정당

尹-韓, 서천 화재 현장에서 조우…갈등 봉합 수순

윤석열 대통령과 거취를 두고 갈등을 빚었던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23일 충남 서천 화재 현장에서 만났다. 사진은 윤 대통령과 한 위원장이 이날 충남 서천특화시장 화재 현장을 방문해 피해 상황을 점검한 뒤 악수하는 모습. /뉴시스(대통령실)

윤석열 대통령과 거취를 두고 갈등을 빚었던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23일 충남 서천 화재 현장에서 만났다. 이를 계기로 '윤-한 갈등'이 봉합 수순에 들어갈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윤 대통령과 한 위원장은 이날 오후 대형 화재가 발생한 충남 서천특화시장 현장을 함께 점검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공식 일정이 없었다. 전날에도 감기로 인해 다섯 번째 민생 토론회에도 불참한 바 있다. 그러나 화재 피해 상황을 보고받고 직접 현장을 돌아보기로 결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 위원장도 이날 예정된 당 사무처 순방 일정을 연기하고 화재 현장을 찾았고, 두 사람은 거취 갈등이 불거진 지 이틀 만에 직접 대면하게 됐다.

 

한 위원장은 이날 오후 1시께 화재 현장에 도착해 윤 대통령을 기다린 후에 현장을 동행 점검했다. 한 위원장은 윤 대통령을 맞이하자 고개 숙여 인사했고, 윤 대통령은 한 위원장의 어깨를 두드리며 감싸는 등 양측의 분위기는 한층 누그러진 모습이었다.

 

이후 윤 대통령과 한 위원장은 현장 보고를 받았다. 이들은 서울로 돌아오는 길은 함께 전용열차를 탑승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수경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화재 현장 점검 후 서면브리핑을 통해 "오늘 눈이 많이 내려 혼잡해진 교통 상황 고려해서 오늘 현장을 방문한 당과 정부 관계자 모두 대통령 전용열차로 함께 서울로 상경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한 위원장은 지난 21일 대통령실로부터 사퇴 요구를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사퇴 요구를 한 이는 이관섭 대통령비서실장으로 알려졌다.

 

다만 한 위원장은 사퇴 요구를 거부했다고 밝혔다. 대통령실이 사퇴를 요구했다는 보도가 나온 21일에는 "국민 보고 나선 길, 할 일 하겠다"며 사퇴를 거부하겠다는 입장을 밝혔고, 다음날(22일)에도 취재진에게 "제가 사퇴 요구를 거절했다"고 설명했다.

 

양측의 갈등은 '김경율 비대위원 사천 논란'으로부터 시작됐지만, 당내에서 김건희 여사의 '명품백 수수 의혹'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나온 것이 실질적 이유로 꼽힌다. 이 때문에 당내 의원들도 친윤(친윤석열)과 친한(친한동훈)으로 나뉜 분위기였다.

 

이 같이 당내 갈등이 첨예해지는 양상을 보이자 양측은 확전을 자제하는 모습이었다. 당내에선 "총선을 앞두고 봉합을 서둘러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고, 대통령실에서도 "무조건 사퇴를 요구한 것은 아니다"라고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윤 대통령이 '내분 양상으로 가면 공멸한다'는 문제 의식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친윤 핵심으로 꼽히는 이철규 국민의힘 인재영입위원장도 이날 KBS라디오에서 대통령실의 사퇴 요구에 대해 "세 분(이관섭 실장, 한동훈 위원장, 윤재옥 원내대표)이 만나 대화하는 과정에서 우려를 전달하고 우려를 전달받는 과정에서 오해가 있었던 것 같이 느껴진다"고 일축했다.

 

이어 '윤-한 갈등' 양상에 대해 "아주 긍정적으로 잘 수습이 되고 봉합이 되리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고 강조했다. '친윤 핵심'인 이 위원장의 발언으로 대통령실의 봉합 의지가 드러난 셈이다.

 

이후 국민의힘은 한 위원장의 서천 화재 현장 방문 일정을 공지했고, 대통령실도 윤 대통령의 현장 방문 일정이 추가됐음을 알렸다. 한 위원장이 현장에서 윤 대통령을 기다린 것을 감안하면, 양측의 만남은 사전에 조율된 것으로 보인다. 이번 현장 방문을 계기로 양측의 갈등도 어느 정도 해소될 것으로 전망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