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은행

정기예금 한달새 19조 급감…주식·코인·채권으로?

정기예금 지난 2022년 대비 감소폭 2배 높아
4% 정기예금 9개 뿐…5대 시중은행에는 없어
투자자예탁금 59조 비트코인 '거래량' 급증

투자자예탁금 추이(왼쪽),비트코인 일 거래량./각 사

은행권의 고금리 정기예금 상품이 사라지면서 정기예금 잔액이 한달새 19조원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에서는 올해 금리인하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투자자들이 이자가 적은 예금보다는 주식과 코인, 채권 등의 투자처로 옮겨간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의 지난해 12월 말 기준 정기예금 잔액은 849조2957억원으로 전월 대비 19조4412억원 줄어 들었다.

 

5대 은행 정기예금 잔액은 지난해 9월 842조원, 10월 856조원, 11월 869조원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했지만 연말에 급감했다.

 

통상적으로 은행권 예금잔액은 연말과 분기 말에 감소하는 경향이 있지만 지난해 말 감소폭은 전년 같은 기간 감소폭(8조8620억원) 대비 2배 이상 웃돌았다.

 

은행권에서는 낮아진 예금금리가 예금잔액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고 있다.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 공시를 살펴보면 전국 19개 은행의 12개월 정기예금 상품(1년 만기) 중 최고금리가 연 4% 이상인 상품은 37개 중 9개에 그쳤다. 5대 시중은행 중에서는 4%대 예금 상품은 단 하나도 없었다.

 

이에 연 6~7%에 가까운 고금리로 이자를 받았던 투자자들이 상대적으로 낮아진 금리에 재가입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예금금리가 낮아지면서 투자자들이 정기예금에 대한 투자매력을 느끼지 못하면서 자금이 이탈한 것으로 보인다"며 "올해 주요국들의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주식이나 코인, 채권 등으로 투자처를 바꾼 것"이라고 해석했다.

 

실제로 일부 대기성 자금은 증시로 유입됐다.

 

지난해 말 일평균 투자자예탁금은 50조8048억원으로 11월(47조3312억원)과 10월(47조9096억원) 대비 3조원 가량 늘어났다. 지난 2일에는 투자자예탁금이 59조4948억원을 기록하면 지난 2022년 5월25일(59조2138억원) 이후 20개월 만에 59조원을 돌파했다. 투자자 예탁금은 투자자가 주식을 사려고 증권사 계좌에 이체한 돈으로 투자 대기 자금이다.

 

또한 주식시장과 비슷한 성격을 지닌 가상화폐시장 역시 거래량이 2배가량 늘었다.

 

지난해 11월 월평균 거래량은 24조, 12월 35조를 기록했지만, 새해인 이달에는 41조를 기록하고 있다. 가상화폐시장은 올해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승인과 반감기를 앞두고 있어 투자자들이 몰리고 있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긴축 완화 기대감에 채권시장으로 투자자들이 이동할 것이란 분석도 나오고 있다.

 

금리가 내려가면 채권 가격이 올라 채권을 기초자산으로 한 각종 투자 상품의 시세 차익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변화하는 금융시장 분위기에 맞춰 고객들이 다양한 투자 상품을 찾고 있다"며 "금리인하가 기대되는 만큼 부동산을 제외한 다양한 투자처로 자금이 이동할 것"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