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전기/전자

왓챠, LG유플러스 내부 베타 중'TV 모아'에 기술 복제 의혹 제기…협상 무산 갈등 표면화

왓챠가 주장하는 무단 복제 부분. /왓챠

LG유플러스가 인수에 실패한 OTT업체 왓챠 서비스를 모방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보편적인 기능이라는 게 LG유플러스 입장이지만, 양사가 장기간 인수와 관련한 협상을 벌이며 사업 내용을 공유해왔던 만큼 갈등의 골은 더욱 깊어지는 모양새다.

 

왓챠는 15일을 기준으로 'LG유플러스 TV 모아'가 자사 서비스인 왓챠피디아 주요 내용을 무단으로 복제했다는 주장을 19일 배포했다.

 

LG유플러스 TV 모아는 LG유플러스가 새로 서비스를 준비 중인 콘텐츠 추천 플랫폼이다. 사용자가 영화와 TV 프로그램 등을 평가하고 공유할 수 있다. 최근 임직원을 대상으로 베타서비스를 시작했다.

 

왓챠피디아와 콘셉트가 같다. 왓챠피디아는 2013년 왓챠가 론칭한 영화 추천 서비스로,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개인별로 콘텐츠를 추천하며 최대 콘텐츠 추천 플랫폼으로 떠올랐다. 구글에도 별점 자료를 제공하고 있으며, OTT 사업 진출에도 기반이 됐다.

 

왓챠는 모아가 콘셉트는 물론 구체적인 내용까지 사용했다고 주장했다. 문구와 레이아웃, 오타까지 모방해 왓챠피디아와 혼동할 수 있다고도 봤다.

 

구체적으로는 의도적으로 띄어쓰기를 무시한 '보고싶어요' 문구와 함께 포스터와 별점 기입 및 액션 버튼 위치, 스포일러 방지 기능과 코멘트 작성 유도 등을 지목했다. '보러가기'를 비롯해 '출연/제작'과 노출 순서도 LG유플러스가 의도적으로 배낀 부분으로 들었다. 전체적인 레이아웃, 디자인 유사성도 문제로 지적했다.

 

왓챠가 LG유플러스에 무단 복제 의혹을 제기하는 가장 큰 이유는 최근 인수 협상을 통해 기술을 탈취했다고 주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왓챠는 지난해 LG유플러스에 투자 제안을 받고 사업 내용을 공유했지만, 기술과 자료 등만 빼앗겼다며 지난 10월 공정거래위원회에 '기술 탈취에 따른 공정거래법상 사업활동 방해' 혐의로 신고한 바 있다.

 

LG유플러스는 전면적으로 부인했다. 디자인과 기능이 업계에서는 보편적인 내용이라며 고유한 영업비밀이라고 보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모아가 임직원 베타 서비스 중으로, 이를 문제 삼은 것이 영업비밀 침해라고 비판하기도 했다. 아직 출시 계획과 내용이 확정되지 않았다며, 내부 정부를 외부에 공개하는 데에 우려를 표했다.

 

LG유플러스는 강경대응도 시사했다. 지난 10월 13일에도 잘못된 사실을 유포하지 말라고 요청한 바 있다며, 항의서한을 다시 송부하고 추후 민형사상 조치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