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Fun&Joy>사주

[김상회의 사주속으로] 가려진 진실

image

 

마리 앙투아네트에 관한 기사를 보자니 기존에 알고 있던 것과는 결이 다른 얘기다. 마리 앙투아네트라고 하면 먼저 떠오르는 이미지는 극도의 사치와 허영에 둘러싸인 철없는 왕비로 프랑스 시민 혁명 당시 배가 고파 빵을 달라고 외쳐대는 성난 군중들에게 "빵이 없으면 케이크를 먹으면 되지"라고 해댔다는 일화다. 이 말은 당시 혁명파가 지어낸 낭설이며 이렇게 지어낸 거짓 얘기를 듣고 군중들은 더욱 분노했다는 것이다. 그녀는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 궁궐 안에 텃밭을 만들어 농사를 짓고 다친 농부를 치료해 주고 빵 공장을 세워줬다.

 

그러나 혁명파에는 봉기의 극적인 이유가 필요했기에 국고 낭비와 부패 등 왕을 타락시킨 혐의 등으로 그녀를 악녀로 몰고 가야 했다. 당시 유럽의 강력한 왕가 출신이니 일반 대중과는 다른 삶을 누렸을 것이지만 실제 그녀는 기품 있는 왕비였다는 것이 후대 역사가의 정평이다. 오스트리아 왕가의 왕녀로서 루이 16세의 왕비가 된 그녀를'오스트리아 계집'이라 부르며 단두대에 세웠지만 그녀는 끝까지 품위를 잃지 않았다.

 

그녀는 단두대 계단을 올라가다가 형리의 발등을 밟자 정중하게 사과했다. 사제가 고해성사를 말하라고 하자 왕비는"지은 죄가 없으니 고백할 것이 없다"라고 대답하며 의연히 죽음을 맞이했다. 이러한 내용을 보면서 때때로 우리가 알고 있는 사실이 반드시 맞는 것이었을까. 진리로 알고 있던 것도 시간이 가면서 사실이 아니라는 것으로 증명된다. 천동설이 그 대표적 예일 것이다. 지구를 중심으로 해가 돈다는 것을 철칙으로 알고 살아왔던 인류가 그 반대였다는 것을 안지도 백 년이 좀 지났을 뿐이다. 수많은 과학적 사실조차도 그러한데 오늘의 진실이 내일의 허구가 되지 않는다는 보장이 없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