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물류/항공

금리 오르고 해상운임은 내리고…"HMM 매각 쉽지 않네"

HMM 컨테이너선/HMM

HMM이 매각을 두고 다시 난기류가 형성되는 모양새다. 고금리 기조가 이어지면서 HMM 인수를 원하는 기업들의 자금 마련이 한층 더 힘들어지고, 해상운임이 연중 최저치를 기록하고 있어 '유찰' 가능성까지 고개를 들고 있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해상운임은 지난해 1월을 기점으로 꾸준히 하락세를 보이며 '900선' 이하로 떨어졌다. 상하이운임지수(SCFI)는 중국 상하이항에서 주요 노선으로 가는 운임들을 평균 낸 지수다. 지난달 28일, SCFI 기준으로 해상운임은 886.85포인트(p)를 기록했다.

 

한국해양진흥공사가 지난 10일 발표한 K-컨테이너운임지수(KCCI)에서도 지수가 1200선 아래로 떨어지며 1170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달 25일보다 66p 떨어진 수치다.

 

실제로 해운업계의 주요 노선인 미주 노선이 4주째 하락세를 보였다. 미주 서안이 1FEU(길이 12m 컨테이너)당 1729달러로, 직전 주 대비 61달러 하락했으며, 미주 동안은 1FEU당 2249달러로 직전 주 대비 128달러 떨어졌다.

 

지속적인 운임하락 기조로 HMM도 실적 타격을 받을 전망이다. 에프앤가이드는 HMM 3분기와 4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각각 90.7%, 81.8% 하락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을 만나 'SCFI 5094.36' 역대급 호실적을 냈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게다가 금리까지 높은 상황이라 현금을 은행으로부터 끌어와야 하는 LX그룹 하림그룹, 동원그룹으로서는 신경이 쓰일 수밖에 없다. HMM을 인수하더라도 예전만큼 수익을 거둘 수 없는 상황을 마주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현 시점에서 HMM 인수를 희망하는 그룹 중 가장 많은 현금을 보유하고 있는 곳은 LX그룹으로 올해 상반기 말 현금성 자산만 약 2조5000억원에 이른다. 뒤이어 하림그룹이 1조 5000억원 , 동원그룹이 6000억원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HMM의 매각 추정가는 최소 7조원으로 한참 부족한 금액이다.

 

인수 후보 기업들이 보유한 현금을 총 동원하고 자체적으로 유상증자, 기업공개(IPO), 채권 발행 등으로 자금을 마련할 수도 있지만 은행권에서 자금을 끌어오는 것은 세 기업 모두에게 필수인 상황이다.

 

이에 업계에서는 여전히 유찰 가능성이 남아있다고 보고 있다. 포스코, 현대차그룹 같은 대기업의 HMM 인수를 바라는 목소리가 여전히 존재한다. 하지만 해당 기업들은 여전히 참여 의사가 없는 상태다.

 

하지만 산업은행의 매각 의지는 현재진행형이며 한국해양진흥공사도 HMM 지분 매각 절차와 관련해 "산업은행과 공사, 그리고 매각 주관사(삼성증권) 간 기 합의한 일정과 방식에 따라 계획대로 진행되고 있는바, HMM 지분매각과 관련하여 공사와 산은 간 입장 차이가 없다"고 밝혀 매각 진행은 아직은 예정대로 진행되고 있음을 시사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