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정책

김치 수출 날개… 2027년까지 수출 3만달러로 키운다

올 상반기 수출액 평년 대비 20%
미국·유럽 김치 수요 증가 등 영향

재래시장에 진열된 김치 /유토이미지

김치 수출 증가가 이어지고 있다. 미국과 유럽 수요가 증가한 영향이다. 정부는 여세를 몰아 김치 산업규모를 키우고, 수출액도 2027년까지 3억달러 규모로 키운다는 계획이다.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올해 6월 기준 김치 수출액이 지난해(7700만달러) 대비 4.8%, 평년(6700만달러) 대비 20.3% 각각 증가한 8100만달러를 달성했다고 6일 밝혔다.

 

미국과 유럽 시장의 수요 증가 등에 힘입어 올해 상반기 170만달러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했다. 수출량도 지난해 대비 3.0%(2만2000톤 → 2만3000톤), 평년 대비 20.0% 각각 증가했다.

 

주요 시장별 김치 수출액을 보면, 대 일본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2.7% 증가한 3300만달러로 가장 많고, 대 미국 수출은 22.7% 증가한 2020만달러, 대 유럽 수출은 3.2% 증가한 910만달러다. 반면, 중화권(570만달러)과 신남방(390만달러) 수출은 각각 19.8%, 7.9% 감소했다.

 

농식품부는 최근 '제3차 김치산업진흥 종합계획(2023~2027년)을 발표, 종균 개발과 핵심 원천기술 확보 등 초격차 경쟁력을 확보하고, 현지 맞춤형 상품 다양화, 프리미엄화 등 수출 활성화 기반 확충에 나선다.

 

이를 통해 김치산업 규모는 2021년 5조3000억원에서 2027년까지 7조원 규모로 키우고, 김치 수출액은 2022년 1조4000억원에서 2027년까지 3억달러로 확대한다는 목표다.

 

우선 2022년 기준 27종이던 우수종균을 2027년까지 60종으로 늘리고, 중소 김치 수출업제 종균 보급률도 18.4%에서 90%까지 높이기로 했다. 기능성 표시 제품·비건·저염김치 등 현지 맞춤형 상품 다양화, 수출김치 숙성 지연을 위한 장기유통 기술개발, 한류 연계 해외시장 확장 등을 추진한다.

 

이와함께 지난해 기준 8개 지역에 제정된 김치의 날도 2027년까지 15곳으로 확대하고, 김치 이슈 대응 등을 위해 aT와 세계김치연구소, 김치협회 등 11개 기관이 참여하는 '김치산업 관계기관 협의체'를 상시 운영해 김치 수출을 지원하기로 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