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석유화학/에너지

삼성SDI, 2분기 영업익 4502억 전년比 4.9%↑…4분기 연속 매출 5조원

삼성SDI 본사 전경/삼성SDI

삼성SDI가 2분기 기준 역대 최대 매출과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삼성SDI의 올 2분기 매출운 5조8406억원, 영업이익은 4502억원을 기록했다.

 

남은 하반기에는 전고체 개발에 주력하고 46파이 원형 전지 라인 생산을 시작하는 등 초격차 기술 중심의 경쟁력 을 확보해나간다는 계획을 밝혔다.

 

◆ 매출과 수익성 모두 잡은 삼성SDI

 

삼성SDI는 27일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을 통해 2분기 기준 역대 최대 매출 및 영업이익을 거뒀다고 밝혔다. 이는 4분기 연속 매출 5조원을 돌파한 수치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23.2%, 영업이익은 4.9% 증가했다. 영업이익률은 7.7%를 기록했다. 사업 부문별 매출액은 전지 부문이 5조270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9.4% 늘었다. 전지 부문 영업이익은 3881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58.5% 급증했다.

 

중대형 전지 매출과 영업이익도 모두 증가했다. 삼성SDI 측은 각형 배터리 브랜드인 P5 배터리를 탑재한 고객사의 프리미엄 차량 판매가 증가했다. 또한 에너지저장장치(ESS)용 배터리도 계절적 비수기를 지나 전력용과 전원공급장치(UPS)용 중심으로 판매량이 늘어난 덕분이다.

 

소형전지는 원형 배터리를 중심으로 견조한 실적을 달성했다. 원형 배터리는 고출력 제품을 중심으로 판매가 늘면서 매출과 수익성이 개선됐다. 스마트폰 등에 탑재되는 파우치형 배터리는 IR 제품 수요 둔화 영향으로 매출이 소폭 감소했다.

 

전자재료 부문 매출액은 570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7% 감소했다. 반도체 소재 매출은 IT 수요 둔화가 지속되며 감소했다. 다만 편광필름은 수요가 점진적으로 회복되며 매출이 증가, 전자재료 부문 실적이 소폭 개선됐다.

 

삼성SDI/삼성SDI

 

 

◆ 전고체 개발과 리튬인산철(LFP) 포함한 다양한 포폴로 승부수

 

삼성SDI 컨퍼런스콜에서 "2025년 미주 생산의 60%를 충족할 예정"이라며 이후 매년 10%씩 비율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모듈 공정의 현지화, 셀, 분리막, 전해액 공급사 북미 진출 등 현지 진출 일정을 파트너사와 계획 중인 사실도 공개했다.

 

특히 삼성SDI는 전고체 전지 개발과 LFP 배터리 개발을 통해 다양한 배터리 포트폴리오를 마련한다는 전략도 공유했다.

 

중대형전지 부문 전략마케팅 손미카엘 부사장은 전고체 전지 기술에서 삼성SDI가 차별점을 두고 있는 것이 무엇이냐는 질문에는 "전고체 개발 관련 일정은 계획대로 잘 진행되고 있다"며 " 6월에 개발 시제품 시작으로 하반기에는 고객향 샘플 시작으로 완성차 업체 데모 차량에 탑재할 것"이라고 답했다. 이어 "구체적인 고객명은 밝힐 수 없지만 2027년 양산을 목표로 신규 고객을 확보했고 현재 복수의 완성차업체와 협의 중이며 2027년 양산을 목표로 미래 자동차 기술을 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컨퍼런스콜에서는 LFP 배터리에 삼성SDI가 뛰어들게 되면서 '배터리 프리미엄 전략'이 희석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됐다. 이에 손 부사장은 "LFP 배터리 개발이 기존의 프리미엄 전략을 포기하는 것은 아니다"며 "프리미엄향 전고체 전지 배터리와 볼륨, 엔트리 등 다양한 베터리 포트폴리오를 갖춰 세분화한 고객 니즈를 충족하며 더 많은 성장기회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또한 "LFP 배터리 시장 진입이 중국보다 늦었지만 NCA삼원계 등 기존에 보유한 기술과 품질 안전성, 현지 오퍼레이션 경험을 살려서 LFP시장에서 차별화를 추진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