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사회일반

'환경친화' 샴푸바, 세정성능 다르고 가격 최대 5.4배 차이

한국소비자원, 샴푸바 10개 제품 시험·평가 결과 발표
"헹굼 수월하고, 잔여감 낮아"… 만족도 9.0점 만점에 평균 5.5점

한국소비자원 관계자들이 18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샴푸바 품질 비교시험 결과를 설명하고 있다. 시험 결과 샴푸바 제품 간 세정성능이 다르고 가격도 최대 5.4배 차이를 보였지만 풍부한 거품과 헹굼 용이성, 적은 잔여감에 대한 평가가 높게 나타났다. /사진=뉴시스

플라스틱 용기 없이 고체 비누 형태로 쓰는 샴푸인 샴푸바의 세정 성능이 제품별 차이가 있고, 가격도 최대 5.4배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18일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샴푸바 10개 제품을 시험·평가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삼푸바의 세정성능을 보면, '뉴(러쉬)', '티트리 퓨리파잉 샴푸 바(아로마티카)', 'S19(톤28)' 3개 제품이 '매우 높음' 판정을 받았고, '힘 없는 모발용 두피 스케일링 샴푸바(닥터그루트)' 등 6개 제품은 '높음', 나머지 '딥그린제이 유근피 샴푸바(제이숲)'는 '보통'으로 나타났다.

 

국가 공인 미용장과 미용학과 교수 32명이 실제 사용해 본 결과, 전반적으로 거품이 풍부하고 헹굼이 수월하며 사용 후 두피나 모발의 잔여감과 잔여향이 적게 느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품 발생량은 '뉴(러쉬)' 제품이, 건조 후 모발의 부드러움과 적은 잔여감은 '딥그린제이 유근피 샴푸바(제이숲)'와 '티트리 퓨리파잉 샴푸 바(아로마티카)' 제품이 각각 높은 평가를 받았다.

 

샴푸바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9.0점 만점에 5.1점 ~ 6.0점(평균 5.5점)이었으며, 10개 제품 중 헹굼 용이성, 모발의 윤기, 수분감 등에서 높은 평가를 받은 '닥터루츠 비어-틴 샴푸 바(아이소이)'의 만족도가 6.0점으로 가장 높았다.

 

납, 비소 등 중금속 6개 성분과 벤질알코올 등 사용 제한이 필요한 살균보존제 8개 성분, 유리알칼리 검출 여부 시험 결과는 전 제품이 관련 기준에 적합했다.

 

화장품 관련 규정에 따라 알레르기 유발성분이 표시 기준치인 0.01%를 초과할 경우, 해당 성분명을 표시해야 하는데, '올바른 샴푸바 중건성용(동구밭)', '뉴(러쉬)', '수분가득 약산성 샴푸바(린넨앤키친)' 제품은 이를 표시하지 않아 기준에 부적합했다.

 

삼푸바 10g당 가격을 비교한 결과, '수분가득 약산성 샴푸바(린넨앤키친)'가 632원, '올바른 샴푸바 중건성용(동구밭)'이 792원 순으로 저렴했고 '뉴(러쉬)'가 3455원, '젠틀 & 밸런스 솔리드 샴푸(록시땅)'가 3000원 순으로 비싸 제품 간 최대 5.4배 차이가 났다.

 

소비자원은 제품 표시와 관련해 기준에 부적합한 제품들은 해당 사업자에게 개선을 권고했고, 관련 내용을 관계부처에 통보할 계획이다.

 

한편, 그랜드뷰리서치의 '샴푸바 시장규모, 점유율 및 동향 분석 보고서, 2019~2025'에 따르면, 세계 샴푸바 시장규모는 2015년부터 연평균 7.6% 성장 중이며, 2025년엔 약 1700만달러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