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감찬 투자정책관 직무대행 "대통령 세일즈외교 투자유치 18%… 글로벌 공급망 재편 영향도"
올해 상반기 외국인직접투자(FDI) 신고액이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반도체와 이차전지 등 첨단 기술 분야 투자가 크게 늘었는데, 글로벌 공급망 재편 영향으로 한국 투자 매력이 상승했다는 분석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23년 상반기 외국인직접투자 신고액이 전년 동기 대비 54% 증가한 170억9000만달러를 기록했다고 4일 밝혔다. 이는 기존 최대 규모인 2018년 상반기 157억5000만달러를 훌쩍 넘어선 사상 최고 금액이다.
외국인직접투자는 작년 3분기 이후 4분기 연속으로 분기별 역대 최대 규모 신고액을 이어가고 있다.
주요국 긴축정책과 고금리 지속, 미·중 기술패권경쟁 등 불확실성으로 인한 글로벌 투자 위축에도 불구하고 국내 외투는 꾸준한 상승세를 유지했다는 평가다. 실제로, OECD가 지난 4월 발표한 2022년 글로벌 외국인직접투자는 전년대비 24% 감소한 1조2900만달러였다.
도착 기준으로는 1년 전보다 6% 증가한 77억5000만달러를 기록했다.
업종별로 제조업은 전년 동기 대비 146% 증가한 76억3000만달러, 서비스업은 11% 증가한 84억8000만달러다. 제조업에서는 반도체와 이차전지 등 전기·전자가 663.0% 증가했고, 화공(+464.1%), 의약(+78.3%) 등의 업종이 증가했고, 서비스업에서는 사업지원·임대(+447.3%), 숙박·음식(+250.6%), 금융·보험(+185.5%) 등이 증가했다.
강감찬 투자정책관 직무대행은 이날 브리핑에서 "대통령의 세일즈 정상외교에서 유치한 투자성과가 전체의 18%(31.4억달러)를 차지해 컸다"며 "이외에 글로벌 공급망이 재편되는 상황에서 앵커기업인 우리나라 반도체와 이차전지와 함께 원부자재, 소재기업 투자가 늘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번 정부 들어 투자세액공제 확대, 글로벌 스탠다드에 부합하는 규제완화 등 기업친화적 정책도 투자의 예측 가능성과 안정성을 높여 큰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된다"고 덧붙였다.
국가별로 미국발 투자는 24% 증가한 36억6000만달러, 유럽연합(EU)은 145% 증가한 42억6000만달러, 중화권은 33% 증가한 32억5000만달러를 기록했다. 반면 일본은 33% 감소한 6억달러에 머물렀다.
미국과 EU에서 반도체·이차전지·바이오 등 첨단 제조업과 수소·해상풍력 등 에너지 신산업 분야 투자가 확대됐다.
강 직무대행은 일본의 투자 감소에 대해 "투자금액이 작아 조금만 줄어도 비율이 커진다"면서 "지난해 대규모 투자가 있었는데, 그 부분이 반영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금 투자는 평균보다 조금 높은 수준"이라며 "앞으로 한일 관계개선을 바탕으로 일본의 투자는 늘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투자 유형별로 공장 또는 사업장을 신·증설해 이를 직접 운영하기 위한 그린필드형 투자는 126억4000만달러로 53% 증가했고, 기업 지분 인수 또는 합병 등 목적의 인수합병(M&A) 투자는 44억5000만달러로 57% 늘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