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사회일반

휘발유가격, 8개월 만에 경유 재역전

전국 주유소 휘발유 평균 가격이 경유 가격을 '재역전'했다. 지난해 경유가 휘발유보다 비싼 '가격 역전' 현상이 일어난 지 8개월 만이다. 24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사이트 오피넷에 따르면 전날 전국 주유소 경유 평균 판매 가격은 리터(ℓ) 당 1575.55원을 기록했다. 같은날 전국 주유소 휘발유 평균 판매가격은 1579.31원이다. 8개월 만에 휘발유 가격이 경유를 앞질렀고, 하루 만에 차이가 4원 가까이로 벌어졌다.

 

앞서 경유 평균 판매가격은 전날 1577선에 진입했다. 이에 따라 휘발유 평균 판매가격인 1579선보다 낮아졌다. 휘발유 가격이 경유 가격을 앞지른 것은 지난해 6월 이후 약 8개월 만이다. 보통 세금이 많이 붙는 휘발유가 경유보다 비싼 가격에 팔린다. 하지만 지난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유럽을 중심으로 경유 수급이 차질을 빚으면서 지난해 5월 경유 가격이 휘발유 가격을 처음 앞질렀다. 최근 동절기에는 난방수요가 오르면서 국제 경유가격의 고공행진이 이어졌다.

 

이후 일시적으로 휘발유 가격이 경유 가격을 재역전하기도 했으나 6월13일부터는 경유가 휘발유보다 비싼 현상이 유지돼왔다. 하지만 올해 들어 가격 차가 좁혀지다 결국 재역전된 것이다. 이 같은 현상은 두 가지 요인에서 기인했다. 휘발유 가격 인상의 경유 유류세 인하 폭 축소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경유 가격 하락은 난방 수요가 줄며 국제 경유 가격이 낮아진 것이 주효했다.

 

조상범 대한석유협회 대외협력실장은 "정부가 올해부터 유류세 인하 폭을 기존 37%에서 25%로 축소하는 등 유류세 인하 폭이 소폭 환원되면서 휘발유 가격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며 "국제 경유 가격은 비교적 온난했던 유럽 날씨로 난방 수요가 줄어들면서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날이 풀리면서 난방 수요 감소로 이어져 국제 경유 가격이 안정세를 찾아 당분간 큰 변동이 없을 것이라는 전망도 내놨다. 조 실장은 "아마 단기적으로는 재역전된 상태로 가격 추이가 이어지지 않을까 한다"고 전망했다.

 

가격 안정세가 유지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해 국민들은 기름 가격 부담을 조금이나마 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실제 제주를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최저가가 리터 당 1400원대에 형성되면서 한때 2000원대를 넘겼던 기름 가격이 안정화 모양새를 보이고 있다.

 

주유소 휘발유 평균 가격이 8개월 만에 경유 가격을 넘어선 23일 서울 시내 한 주유소의 휘발유 가격이 경유보다 35원 비싸게 적혀 있다. 사진/뉴시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