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제정책

안전불감증 대한민국, 잇따른 참사에 국민 10명 중 3명만 "안전해"

통계청 2022년 사회조사결과
5년 전, 후 비교해 "안전하다" 30% 그쳐…잇따른 재난·참사에 불안
가장 큰 불안요인 '신종질병'…코로나19 여파
재난·긴급상황 행동 요령 인지도 낮아져

사회의 안전 상태 변화 5년 전, 후 비교. 자료=통계청

5년 전보다 우리 사회가 안전해졌다고 생각하는 국민이 10명 중 3명에 불과한 것으로 확인됐다. 앞으로 더 안전해질 것이라고 믿는 사람도 적었다. 국민 다수는 가장 큰 불안 요인으로 '신종질병'을 꼽아 코로나19 여파가 가시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16일 발표한 '2022년 사회조사 결과'를 보면 우리 사회가 전반적으로 안전하다고 느끼는 사람은 33.3%에 그쳤다.

 

5년 전보다 우리 사회가 안전해졌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32.3%, 향후 5년 후 우리 사회가 안전해질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32.6%로 각각 집계됐다.

 

최근 이태원 참사 전에 조사된 결과지만 우리나라 국민 대부분이 예상치 못한 재난이나 대형사고에 불안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국민 21.0%는 우리 사회의 가장 큰 불안 요인으로 '신종질병'을 꼽았다. 코로나19가 시작된 2020년(32.8%)과 비교해 비중이 줄어들긴 했지만 신종 바이러스 출현에 대한 불안은 여전했다.

 

일상생활 중 코로나19로 인한 우울감을 뜻하는 '코로나 블루'를 느낀다고 답한 사람도 30.3%였다. 코로나 블루를 경험한 사람은 여성(35.1%)이 남성(25.5%)보다 많았다.

 

이어 불안요인으로 국가안보(14.5%), 범죄발생(13.9%), 경제적 위험(13.3%) 등이 꼽혔다.

 

특히, 여성은 범죄발생에 대한 우려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밤에 길거리를 혼자 걸었을 때 불안하다고 느끼는 비율은 여성(44.0%)이 남성(15.1%)보다 월등히 높았다.

 

재난이나 긴급상황 발생 시 행동 요령을 알고 있다는 응답은 2년 전보다 감소했다.

 

긴급상황 발생 시 신고 전화번호를 알고 있다는 비율은 96.7%로 2년 전보다 0.4%포인트 줄었다. 지진, 화재 등 상황별 행동요령은 85.6%로 1.2%포인트, 인공호흡 및 심폐소생술 방법은 61.0%로 0.2%포인트 각각 낮아졌다.

 

13세 이상 국민 중 64.6%는 생활환경 속 불안요소로 미세먼지를 꼽았다. 이어 기후변화(45.9%), 방사능(43.4%), 유해 화학물질(42.5%) 순이었다.

 

나빠졌다고 느끼는 환경 요소는 층간소음과 같은 소음·진동이 23.7%로 가장 많았고, 대기(17.6%), 토양(13.2%), 하천(12.8%) 순으로 꼽혔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