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정치>국회/정당

[2022 국정감사] 작년 서울 극단적 선택 20대 사망 9.3%↑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정우택(사진) 국민의힘 의원이 10일, 서울시와 서울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1년 서울시 내에서 극단적 선택으로 숨진 사람은 2034명이다. 이 가운데 20대가 전년(2020년)보다 9.3% 늘었다. 최근 10년(2012∼2021년) 동안 극단적 선택으로 숨진 사람이 가장 많이 늘어난 연령대도 20대였다. /뉴시스(공동취재사진)

서울에서 지난 한 해 동안 극단적 선택으로 숨진 20대가 전년(2020년)보다 9.3% 늘었다. 최근 10년(2012∼2021년) 동안 극단적 선택으로 숨진 사람이 가장 많이 늘어난 연령대도 20대였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정우택 국민의힘 의원이 10일, 서울시와 서울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1년 서울시 내에서 극단적 선택으로 숨진 사람은 2034명이다. 60대 이상 연령대가 655명(32.2%)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50대와 20대가 나란히 353명(17.4%), 40대 299명, 30대 296명 순이었다.

 

문제는 극단적 선택으로 숨진 사람들 가운데 20대가 전년 대비 9.3% 늘어난 점이다. 이는 모든 연령층에서 가장 높은 수치다. 60대 이상 연령대에서는 극단적 선택으로 숨진 비율이 전년 대비 8.4% 늘었다. 나머지 연령대는 오히려 감소했다. 극단적 선택으로 숨진 인원은 전년(2020년) 2032명인데, 지난해와 비교하면 큰 차이는 없었다.

 

문제는 최근 10년(2012∼2021년)간 극단적 선택으로 숨진 인원이 가장 많이 늘어난 연령대도 20대인 점이다. 해당 기간 극단적 선택으로 숨진 20대 비율은 연평균 3.1% 증가했다. 이는 전 연령대 가운데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2020년에는 323명으로 40대(302명)를 처음 앞질렀고, 지난해는 30대보다 많았다.

 

반면 서울 전체에서 극단적 선택으로 숨진 인원은 10년간 연평균 1.2% 감소한 것으로 파악됐다. 20대만 제외하면, 다른 연령대에서 대부분 줄어들거나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최근 10년간 서울에서 극단적 선택으로 숨진 인원은 총 2만1577명인데, 60대 이상 6559명(30.4%)이 가장 많았다. 이어 50대 4026명(18.7%), 40대 3794명, 30대 3527명, 20대 2870명 순이다.

 

한편 지난해 서울에서 극단적 선택으로 숨진 인원 현황을 자치구별로 보면 관악·강서구가 나란히 128명으로 가장 많았다. 2020년에도 관악구가 119명으로 1위, 강서구가 109명으로 2위였다.

 

극단적 선택으로 숨진 인원이 가장 많았던 해당 지역은 서울시 내 1인 가구 밀집 지역으로 꼽힌다. 2021년 기준 관악구 내 1인 가구 수는 13만6255명으로 서울 자치구 중 가장 많았다. 강서구는 9만4436명으로 뒤를 이었다.

 

성별로 보면 남성 1312명, 여성 722명이었다.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자료 기준에 따라 10만명 당 극단적 선택으로 숨진 남성은 28.4명, 여성의 경우 14.8명이다. 남성이 여성보다 갑절 가까이 많았다.

 

발견 장소는 아파트·주택이 1천198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노상 169건, 강변 121건으로 뒤를 이었다. 병원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경우도 98건에 달했다.

 

정우택 의원은 "특히 20대 청년 자살률이 급증하고 있어 가슴이 무너진다"며 "서울시가 서울시민 민생을 우선적으로 잘 챙기는 것은 물론 서울경찰청과 협력해 자살예방시스템을 좀 더 획기적으로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으면 자살 예방 핫라인 ☎1577-0199, 희망의 전화 ☎129, 생명의 전화 ☎1588-9191, 청소년 전화 ☎1388 등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