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Fun&Joy>사주

[김상회의 사주속으로] 금수저 흙수저

image

금수저 흙수저라는 표현이 흔하게 사용된다. 금수저는 넉넉한 가정에서 태어나 금전적 지원을 충분히 받는 사람을 말한다. 흙수저는 어떤 도움도 받을 수 없이 혼자 힘으로 해내야 한다. 금수저라는 표현은 요즘 생긴 게 아니다. 금수저를 물고 태어난다는 말이 오래전부터 언제나 있었던 표현이다. 누군가는 태어날 때부터 부유한 부모의 혜택을 받는데 비해서 누군가는 가난한 집에서 태어난다. 그 상태가 그대로 계속 유지되느냐는 건 또 다르다.

 

어른이 되고 결혼을 하고 중년을 거쳐 노년이 될 때까지를 본다면 다른 결과가 되기도 한다. 부유한 집에서 태어나 가난하게 사는 사람도 있고 결핍을 딛고 경제적 풍요를 이루는 사람도 있다. 그런 변수가 항상 존재하는 게 세상사 이치이다. 사람의 세상살이에는 합이 되는 게 있고 불합이 되는 게 있다. 내 운세의 기운이 내가 애쓰는 방향으로 합이 되면 살림살이가 활짝 피어나고 반대로 불합이 되면 쇠퇴하는 방향으로 흐른다. 이는 음식을 먹을 때의 궁합과 비슷하다. 궁합이 좋은 음식은 몸을 건강하게 만들어주지만 나쁜 음식을 먹으면 몸이 축나는 것과 같다. 나를 돕는 운세의 기운과 나의 의지가 합을 이루면 인생의 고갯길도 쉽게 넘어가고 호랑이가 날개를 달게 되는 모양새가 된다.

 

이런 경우 흙수저라는 한계가 걸림돌이 되지 않는다. 금수저임에도 운세의 흐름과 자기 의지가 불합이 되면 인생이 좌초한다. 그렇기에 인생 역전이라는 말이 있고 드라마 같은 성공이라는 말도 나온다. 중요한 건 운세의 기운이 어떻게 흐르는지 알아야 한다. 운세의 기운과 나의 의지를 합일시키는 게 관건인데 그 합을 잘 맞추면 인생의 큰 시너지가 일어난다. 소용돌이를 만나느냐 순풍을 만나느냐는 결국 운세에 달렸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