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14일 이후 BTC 2만달러 재붕괴
시가총액 1조달러 붕괴된 9600억달러
파월, "당분간 공격적 금리 인상 계속"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이 '잭슨홀 미팅'을 통해 금리인상 기조 유지를 밝히면서 암호화폐전체 시가총액(시총)이 100조원 넘게 증발했다.
28일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암호화폐 대장주 비트코인은 지난달 14일 이후 또 다시 2만달러가 붕괴됐다.
비트코인은 지난 27일에도 약 6% 하락해 2만1000달러가 붕괴되기도 했다. 이더리움 역시 지난달 월 27일 이후 한 달 만에 1500달러가 깨지면서 이달 상승폭을 전부 반납했다.
이로 인해 암호화폐 전체 시총도 1조445억달러에서 9600억달러까지 감소했다. 하루사이 845억달러, 약 113조4835억원이 증발한 것이다.
암호화폐 시장이 전체적으로 급락세가 지속되는 이유는 잭슨폴 미팅에서 파월 연준 의장의 발언 때문이다.
파월 의장은 전날 연준의 연례 경제 심포지움인 잭슨홀 회의 연설에서 초강경 발언을 시사했다.
파월 의장은 "단 한 번의 월간 (물가지표) 개선만으로는 물가상승률이 내려갔다고 확신하기에는 한참 모자라다"며 "인플레이션을 잡는데 가계와 기업의 고통이 수반되더라도 당분간 공격적 금리 인상을 계속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파월 의장은 약 9분의 연설 동안 인플레이션이라는 단어를 45차례나 언급하면서 다음달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공격적인 금리인상을 예고한 것이다.
만약 다음 달 FOMC에서 3개월 연속 자이언트스텝(한 번에 0.75%포인트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할 경우 암호화폐 시장은 패닉에 빠질 것으로 보인다.
케이티 스톡턴 페어리드스트레티지 공동설립자는 외신과의 인터뷰에서 "최근 매도 공세 강화는 단기 모멘텀 상실, 장기 하락 추세 내에서 위험증가와 관련됐다"며 "단기 과매도 수준은 곧 진정될 수 있겠지만 1만8300~1만9500달러 범위의 장기 지지선 이하에서 잠재적인 붕괴가 일어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오완다(Oanda) 수석 시장분석가 에드워드 모야(Edward Moya)는 "비트코인이 2만 달러를 사수할 수는 있으나 파월 연준 의장이 잭슨홀 심포지엄에서 초강력 달러 정책을 계속하겠다는 방침을 밝히면서 연중 최저점을 다시 보게 될 수도 있다"고 언급했다.
비트코인의 투자심리 위축세도 지속되고 있다. 이날 암호화폐 데이터 제공 업체 알터너티브(Alternative)의 자체 추산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에 따르면 해당 지수는 28을 기록하며 '공포' 단계가 지속됐다. 이달 최대 47까지 상승했지만 금리인상 압박으로 다시 20대로 추락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