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뷰티

로드샵 화장품 브랜드 실적 개선 움직임…사업 전략 '주목'

스킨푸드 영업이익률 추이 그래프. /스킨푸드

코로나19의 재확산 등 불확실성이 여전한 가운데 로드샵으로 유명했던 화장품 브랜드들이 각자의 전략을 모색한 결과, 실적 개선의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화장품 브랜드 '스킨푸드'가 9년 만에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스킨푸드는 올해 상반기 매출 162억9500만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률은 13.5%로 성장하며 흑자 전환하게 됐다.

 

스킨푸드는 재도약을 위해 그간 판매·마케팅 채널 및 매체 역량을 강화하고 소비자와 진정성 있게 소통하며 고객 요구에 즉각 대응하는 등 적극적인 전략을 펼쳐왔다.

 

회사 측은 흑자 전환의 가장 큰 요인으로 올리브영, 국내 온라인, 해외 온라인 수출과 같이 판매 채널 강화와 임직원의 팀워크 상승으로 인한 경영 시스템 안정화를 들었다.

 

이외에 '당근 패드'로 불리는 캐롯 카로틴 라인과 판토테닉 워터 파슬리 라인의 미나리 패드, 로열허니 프로폴리스 인리치 칠링 에센스 등 신제품이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했다. 땡큐푸드박스 등의 기획 상품도 실적 개선을 견인했다.

 

또 다른 화장품 로드숍 브랜드 '네이처리퍼블릭'은 지난달 명동 상권에 위치한 명동유네스코점·명동충무로점 2곳의 운영을 재개했다. 이 가운데 명동유네스코점은 코로나19 직격탄을 맞고 지난해 3월부터 약 1년 6개월간 매장 문을 닫았던 곳이다. 앞서 부산지하철 14곳과 수도권 메트로 6개 매장, 가맹점 3곳 등도 신규 오픈했다.

 

네이처리퍼블릭은 로드샵 인기 하락과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2010년대 후반 적자 길로 들어선 대표 브랜드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비효율 매장 정리 등 선택과 집중 전략을 취한 바 있는데, 최근 들어 오프라인 매장들을 추가 오픈하면서 오프라인 화장품 수요 증가에 대비할 준비를 갖췄다.

 

한편으로는 유튜버 마케팅 및 각종 체험단 운영을 통해 SNS를 중심으로 제품력을 적극적으로 알리고 있다.

 

에이블씨엔씨는 미샤, 어퓨를 비롯해 초공진, 스틸라, 셀라피, 라포티셀 등 기초와 색조, 한방과 더마 분야를 아우르는 브랜드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며 주력 브랜드 경쟁력 강화에 힘쓰고 있다. 해외 시장 진출, 디지털 전환을 지속하며 글로벌 뷰티 기업으로 성장하고 기업가치를 끌어올릴 예정이다.

 

에이블씨엔씨 관계자는 "현재 미국과 일본서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루고 있고 동남아와 남미 등 신시장 개척에 나서고 있다. 중국에서는 핵심상품의 선별적 마케팅과 성장 효율을 높일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5060 고객층 대상으로 기초 화장품 카테고리 비중이 높은 오프라인에서도 고객 특성과 임대료 효율, 경영 효율 등을 고려해 운영, 수요를 다잡는다는 전략이다.

 

에이블씨엔씨는 지난 1분기에 해외 수출 증대 및 경영 시스템과 온·오프라인 효율화 덕으로 9분기 만에 흑자전환을 이룬 바 있다.

 

토니모리는 오랜 시간 공석이다가 올 3월 대표 자리에 오른 김승철 사장을 필두로 온·오프 투트랙 전략을 통해 흑자전환을 이뤄내겠다는 목표다. 온라인과 해외 시장 공략을 가속화해 외형 성장과 수익성 개선을 이뤄내겠다는 구상이다.

 

토니모리는 지난 1분기 매출액이 291억원으로 전년 대비 6.3% 증가했고 영업손실은 14억원으로 줄여, 적자 폭을 개선한 바 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