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사회일반

3월 주요 유통업체 매출 7.1%↑… "자가격리 증가·봄 세일 영향"

실외 마스크 의무 착용 완화에 대한 기대감으로 색조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지난 27일 오후 서울시내 백화점을 찾은 시민들이 화장품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뉴시스

지난달 주요 온·오프라인 유통업체 매출이 1년 전보다 크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미크론 확진자가 대거 발생해 가정용 생필품 수요가 증가하고, 봄철 세일 시기가 겹친 영향으로 파악된다.

 

28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3월 주요 유통업체 매출은 오프라인 부문(6.3%)과 온라인 부문(7.9%)이 고른 성장세를 보이며, 전체 매출이 전년동월 대비 7.1% 상승했다.

 

산업부는 "오미크론 확산에 따른 자가격리자 증가 등으로 식품·생활 분야 수요 증가와 봄철세일 시기 등이 맞물리며 오프라인 매출이 상승했다"고 밝혔다. 온라인 유통업체와 관련 "비대면 소비문화 확산으로 식품·화장품 등 매출 증가세가 이어졌고 온라인과 오프라인 매출비중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고 전했다.

 

상품군별로 대부분 매출이 증가했고, 해외유명브랜드(21.1%), 식품(12.1%), 서비스/기타(7.5%), 아동/스포츠(4.8%) 순으로 매출 증가폭이 컸다.

 

오프라인에서는 가전/문화, 생활/가정 등 매출이 한 자릿수 감소한 가운데, 해외유명브랜드 매출이 21.1% 증가하는 등 호조세를 지속했다.

 

온라인의 경우 재택치료가 늘면서 생필품인 식품(24.6%), 생활/가정(8.4%) 등의 매출이 크게 증가했다.

 

또 오미크론 확산으로 인해 근거리 쇼핑 선호, 매장 방문시 대량 구매 경항이 지속된 것으로 보인다고 산업부는 분석했다.

 

업태별로 오프라인 매출 비중이 50.5%로 소폭 감소한 반면, 온라인 매출 비중은 49.5%로 소폭 증가했다.

 

오프라인 업태 중 백화점(0.1%p), 편의점(9.7%p) 매출 비중은 증가했으나, 대형마트(-1.0%p), SSM(-0.1%p) 비중은 줄었다.

 

대형마트는 오미크론 확산으로 방문객 감소 등으로 대부분 상품군 판매가 감소했으나, 식품(4.8%) 판매 호조로 전체 매출은 전년 수준을 유지했다.

 

백화점은 봄시즌 상품 수요와 봄철세일 등 해외유명브랜드, 아동/스포츠, 여성정장 판매 호조로 전체 매출이 증가했다.

 

편의점은 생필품 등 근거리 구매 증가에 따른 가공·즉석식품, 생활용품, 잡화 등 전 품목 판매 호조로 전체 매출이 늘었다.

 

온라인 유통업체 매출은 전년동월 대비 7.9% 증가했으며, 백화점 세일 주요 품목인 패션/의류(-2.7%), 스포츠(-1.4%)를 제외한 대부분 품목에서 매출이 상승했다.

 

비대면 구매 확산이 지속되며, 식품, 화장품, 생활/가구 등 생활용품 판매가 크게 증가했다.

 

산업부 주요 유통업체 매출동향 조사는 백화점 3사와 대형마트 3사, 편의점 3사 등 오프라인 업체 13개사와 이베이코리아, 11번가 등 12개 온라인 유통업체를 대상으로 소비동향 파악을 위해 매달 이뤄진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