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자동차

한국지엠, 2025년까지 국내 10종 전기차 출시… 볼트 EV·EUV 외 8종 기대감↑

2025년까지 국내 출시되는 GM의 전기차 10종.

"볼트EV·EUV를 시작으로 2025년까지 GM 브랜드 산하의 전기차 10개 차종을 국내에 출시할 계획이다."

 

카허 카젬 한국지엠 사장이 23일 서울 양재동 더 K-호텔 서울에서 열린 '쉐보레 볼트EV 미디어 드라이빙 캠프'에서 영상 메시지를 통해 전 전동화(all-electrification) 미래 실현을 위해 이같은 전략을 내놨다. 카젬 사장은 국내 전기차 시장 선도 및 한국사업장의 역할 강화 의지를 또다시 강조한 것이다.

 

앞서 GM은 2025년까지 총 350억 달러(약 41조3000억원)를 투자해 30종의 전기차를 선보이겠다고 발표했다. 한국지엠 역시 GM의 글로벌 전기차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국내 고객들에게 다양한 선택권과 경험을 제공할 방침이다.

 

카젬 사장은 "쉐보레는 2017년 국내 시장에 유일한 전기차 전용 플랫폼을 기반으로 제작된 볼트EV를 공개하며 장거리 전기차 시대를 열었다"며 "우리의 미래가 전동화에 있는 만큼 향후 10개 차종의 전기차를 국내에 출시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쉐보레 볼트EV 미디어 드라이빙 캠프에서 영상 메시지를 전하는 카허 카젬 한국지엠 사장.

한국지엠이 향후 국내에 출시할 전기차 10종에는 보급형부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럭셔리 모델 등 다양한 라이프 스타일과 가격대를 아우르는 모델이 포함된다.

 

이번에 출시되는 신형 볼트EV는 새로운 디자인과 편의 사양이 적용된 부분변경 모델이다. 같은 아키텍처를 활용한 쉐보레 최초의 전기 SUV인 볼트EUV도 함께 출시된다. 1회 충전 시 주행거리는 각각 414㎞와 403㎞다. 가격은 4000만원대로 전기차 대중화 시대를 가속화할 GM의 전략 모델이다.

 

GM은 독보적인 전동화 기술력 확보를 위해 신규 사업과 투자, 전략을 마련해 나가고 있다. GM은 지난 1월에는 70억 달러(약 8조3000억원) 규모의 투자를 발표했다. GM 역사상 단일 투자로는 최대 규모다. 이 투자에는 LG에너지솔루션과의 합작법인인 '얼티엄셀즈'의 새로운 배터리 생산 공장 건립, 오라이언 타운십 공장의 전기차 전용 생산 공장으로 전환 등이 포함됐다.

 

또한 플랫폼 혁신 기업으로의 변화를 가속화하고 있다. GM은 2020년 3월 전기차 전용 하드웨어 플랫폼 얼티엄을, 2021년 10월에는 진화형 소트프웨어 플랫폼 얼티파이를 각각 발표했다. 얼티엄은 모든 이동 수단을 전동화 시킬 수 있는 하이퍼 스케일의 전기차 플랫폼이다. 대형 파우치 형태의 셀을 배터리 팩 내부에 가로 혹은 세로로 배치할 수 있는 차별화된 구조로 설계돼 세단, SUV, 상용차 등 다양한 형태의 차량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얼티엄 플랫폼은 GMC 허머EV와 캐딜락 리릭을 시작으로, 지난 CES 2022에서 출시를 알린 쉐보레 실버라도EV, 이쿼녹스EV, 캐딜락 셀레스틱 등에 순차 적용된다.

 

쉐보레 볼트EV 미디어 드라이빙 캠프에 전시된 볼트EV(오른쪽)와 볼트EUV.

한국사업장도 GM의 미래 성장과 플랫폼 기업으로의 전환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지속해나가고 있다. 탄소배출 제로라는 전동화 전환 과정을 이루기 위해서는 저 배기량의 고효율, 안전한 내연기관 차량 공급이 병행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현재 한국지엠의 부평공장에서는 트레일블레이저가 생산, 수출되고 있으며, 창원공장에서는 2023년부터 차세대 글로벌 크로스오버 차량이 생산될 계획이다. 2018년 발표된 GM 한국사업장 경영정상화 계획의 핵심적인 두 축인 두 개의 글로벌 신차 플랫폼은 모두 저배기량, 고효율·고성능 제품으로 GM의 탄소배출 제로 비전 실현에 일조하고 있다. 특히 트레일블레이저는 코로나19와 차량용 반도체 부품 수급 지연 여파에도 불구하고 2021년까지 누적 수출량이 28만 대를 넘어서는 등 세계적인 흥행을 이어가고 있다.

 

자동차 설계, 동력 시스템, 제조 장비 설계 분야에서 20개 이상의 글로벌 자동차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지엠테크니컬센터코리아(GMTCK)의 역할도 커지고 있다. 현재 GMTCK에는 약 500명의 한국 엔지니어가 글로벌 EV프로그램들을 진행하고 있으며, 추후 GM의 미래 모빌리티 기술과 연계된 업무를 위해 그 인원이 2023년까지 두 배로 확대될 계획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