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IT/인터넷

KT, 기가지니+아마존 알렉사 합쳐진 AI 서비스 '기가지니 듀얼브레인 AI' 선보여

모델들이 KT 기가지니에서 아마존 알렉사를 사용하는 '듀얼브레인 AI' 서비스를 시연하고 있다. /KT

KT가 기가지니와 아마존 알렉사(Alexa)가 합쳐진 AI 서비스인 '기가지니 듀얼브레인(Dual Brain) AI'를 출시한다.

 

KT는 10일 기자간담회를 개최하고 디지코 역량을 키우기 위해 아마존과 인공지능(AI), 콘텐츠, 클라우드 등 분야에서 아마존과 협력하기로 했으며 멀티 클라우드 협력까지도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기가지니 듀얼브레인 AI'란 국내 1위 AI 서비스인 KT 기가지니와 글로벌 1위인 아마존 알렉사의 AI를 모두 기가지니 단말에서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다. KT 기가지니3 이용고객이면 누구나 별도 단말기나 서비스 구매 없이 기존 기가지니 단말에서 듀얼브레인 AI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기가지니에서 '지니야'라고 부르면 한국어 기가지니를, '알렉사'라고 부르면 영어로 아마존 알렉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기가지니를 사용할 땐 하얀색, 알렉사를 사용할 땐 파란색 LED가 점등된다.

 

특히, KT는 국내 고객들의 알렉사 서비스 사용성을 고려해 음성 뿐 아니라 화면으로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카드(Display Card)' 기능을 추가했다. 기가지니에서 알렉사에게 영어로 질문을 하면, 답변 정보가 음성과 함께 TV 화면 우측에 카드 형태로도 표시된다.

 

아마존 알렉사는 기본적 대화와 정보검색 외에도 키즈, 스마트홈, 엔터테인먼트 등을 주요 서비스로 제공하고 있는 글로벌 AI 음성인식 서비스로, 13만개 이상의 서비스 앱들과 14만개의 연동 가능한 사물인터넷(IoT) 디바이스를 확보하고 있다.

 

이 때문에 KT는 '기가지니 듀얼브레인 AI'가 ▲영어 교육이 필요한 키즈가구 ▲자기계발이 필요한 직장인 ▲더 스마트한 생활을 원하는 주부 등 다양한 고객군에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내다봤다.

 

배한철 KT전략기획실 제휴협력담당 상무는 "영어를 중심으로 알렉사 서비스를 넣어 고객에게 가치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협력하고 있다"며 "계속 사용해보고 있는데 기가지니는 한국어에 대한 인식률이 국내 톱인데, 알렉사도 음성 인식률이 높아 인식률은 어디 가서도 뒤지지 않는다. 교육 쪽이나 아이들을 대상으로 접근하려고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음악과 뉴스, 스포츠 중계, 팟캐스트 등의 해외 라디오 스트리밍 서비스인 튠인(TuneIn)을 기가지니에서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 CNN, Fox, Ted와 같은 글로벌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다. 또 아마존의 프리미엄 오디오북 서비스인 오더블(Audible) 서비스도 제공된다. 기가지니에서 알렉사를 불러내 다이슨 등 해외 직구 가전제품들도 제어 가능하다.

 

KT는 상반기 중으로 기가지니1과 기가지니2에도 듀얼브레인 AI 탑재를 완료한다는 방침이다. 이로써 약 310만명의 기가지니 고객들이 모두 아마존 알렉사를 기가지니에서 이용할 수 있게 될 예정이다. 또한 출시와 동시에 KT 블로그, 유투브, 홈페이지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알렉사로 쓸 수 있는 주요 서비스 목록을 안내해 서비스 활용성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KT 관계자는 "알렉사는 영어 서비스가 독특하게 제공되고 있어 고객에게 새로운 가치를 제공하는 관점으로 보고 있다"며 "AI호텔이나 B2B 서비스에 맞춤형으로 서비스를 제공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배한철 상무는 경쟁사와의 차별화 포인트에 대해 "아마존과 협력관계는 각사가 다 공히 진행하는 부분이고 구현 방법이나 정도에 차이가 있었다"며 "저희는 셋톱박스를 연동하는 것이 목표인데, 경쟁사는 스피커에 연동해 구현 방법이 달랐다"고 설명했다.

 

KT와 아마존은 지난 5월부터 전략적 협업 계약을 맺고 VII(Voice Interoperability Initiative) 멤버로서 듀얼브레인 단말과 서비스를 함께 개발해왔다. 이번 기가지니 듀얼브레인 AI 출시를 계기로 양사는 기가지니에서의 아마존 서비스 협력 범위를 단말을 넘어 스포티파이(Spotify) 등 프리미엄 콘텐츠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국내 1위 기업과 글로벌 1위 사업자가 만나 많은 아이디어나 기술적 플랫폼을 공유해 새로운 사업을 만들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KT AI/BigData사업본부 최준기 본부장은 "화면 UI 기반의 풍부한 AI서비스 콘텐츠를 가지고 있는 KT 기가지니와 가장 많은 서드파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아마존 알렉사의 만남은 앞으로가 더 기대된다"며, "기가지니 듀얼브레인 AI 서비스를 시작으로 KT는 아마존과의 협업 도메인과 서비스 범위를 지속 확장하겠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