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2022년 자동차 분야 예산 4709억원 확보
중소·중견 부품기업의 미래차 전환 투자 촉진 등
정부가 자동차 분야 내년 예산을 대폭 증액해 미래차 전환에 집중 투자하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자동차 분야 2022년도 예산이 올해 3615억원보다 30.2%(1094억원) 증액된 4709억원으로 국회 의결을 통해 최종 확정됐다고 14일 밝혔다.
이 가운데 미래차 기술개발에 4157억원을, 사업화지원에 552억원을 투자한다. 전기·수소·자율차 등 미래차 기술경쟁력 확보와 사업 전환을 집중 지원하기 위한 투자확대 기조를 유지했다.
특히, 중소·중견 부품기업의 미래차 전환 투자 촉진을 위한 이차보전사업과 자유공모형 '전환기 대응 R&D'사업을 신설했다.
미래차 기술개발은 내연기관 부품업체의 미래차 분야 전환 지원, 전기·수소차 대중화, 하이브리드차 수출전략화, ICT 융합 신기술 및 자율주행 등 미래차 산업육성과 기술개발을 집중 지원한다.
전기차의 경우 1회 충전 주행거리를 2025년 600㎞까지 확보하기 위한 배터리시스템과 주행효율 향상 등 핵심기술개발을 지속 추진한다.
이를 위해 시장자립형 3세대 xEV 산업육성에 591억원, 미래형자동차 튜닝부품 기술개발에 70억원을 투입하고, 전기차용 폐배터리 재사용 산업화기술개발에 30억원을 신규 투자한다.
수소차는 수소 상용차(트럭·버스)용 핵심부품 국산화와 건설기계·항공 등 다양한 모빌리티에서 연료전지를 활용하는 개방형 플랫폼 개발을 추진한다.
수소모빌리티 2.0에 90억원을, 수소모빌리티 확대를 위한 개방형 연료전지시스템 설계검증 플랫폼 기술개발에 48억원, 도시철도 회생전력 유휴에너지 활용방안 기술실증에 42억원을 각각 신규 투입한다. 또 수소전기트램실증에 전년 대비 약 3배 증액한 96억원을 투자한다.
미래차로의 급속한 전환이 어려운 부품업계 현실을 고려해 하이브리드차를 수출 전략차종으로 육성하기 위한 부품 성능 고도화 기술개발에도 37억원을 신규 투자한다.
전동킥보드 등 친환경 퍼스널 모빌리티 핵심기술개발과 실증을 통해 중소부품업체 사업다각화 지원에도 나선다. 전기이륜차 배터리 공유스테이션 실증사업에 52억원을 신규 투입하고, 퍼스널 모빌리티 플랫폼 핵심기술 개발 및 실증에 49억원을 투자한다.
2027년 완전 자율주행(Lv.4) 세계 최초 상용화를 위해 자율주행 기술 고도화와 안전성·신뢰성 향상 기술개발을 확대 지원한다.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에 362억원, 미래차디지털융합산업실증프랫폼구축에 96억원 등을 투입하기로 했다.
금융·인증 등 사업화지원에도 나선다. 부품기업에 대한 이차보전사업을 신설해 미래차 전환 설비투자 및 M&A 자금 대출시 금리의 2%를 보전해 2022년도에 1700억원의 융자금을 지원한다.
자동차 업계 미래차 진출의 가장 큰 애로요인인 인력 지원을 위해 수요별 선제적 인력지원을 강화하고 올해 1100명 규모를 내년엔 2300명 규모로 대폭 확대키로 했다.
산업부는 내년 1월 중 사업별 신규 사업자 접수 및 선정을 위한 공고를 실시하고, 4월 중 예산 조기집행을 통해 코로나19로 위축된 자동차 부품업계 기술개발 여력을 제고해 나갈 계획이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