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호텔

내년 제주 서귀포에 ‘JW 메리어트 제주 리조트 앤 스파’ 오픈

JW 메리어트 제주 리조트 앤 스파 전경. /메리어트 인터내셔널

 

 

JW 메리어트가 내년 2분기 중 제주 서귀포에 럭셔리 리조트 'JW 메리어트 제주 리조트 앤 스파'를 선보인다.

 

JW 메리어트는 현재 국내 2개 호텔을 포함해 전 세계 33개 국가 및 지역에서 103개 호텔 및 리조트를 운영 중이다.

 

바트 뷰링(Bart Buiring) 메리어트 인터내셔널 아태지역 세일즈 앤 마케팅 대표는 "JW 메리어트 브랜드를 서울에 이어 제주에 선보이게 되어 기쁘다"며 "제주는 한국뿐 아니라 아시아 태평양 지역 전반의 고객들에게도 인지도 높은 휴양지인 만큼 JW 메리어트 제주가 아태지역 럭셔리 리조트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30일 밝혔다.

 

서귀포시 태평로에 위치한 JW 메리어트 제주는 제주의 땅과 하늘, 바다를 리조트 안에 품고 있는 모습으로 어떠한 방해도 받지 않고 웅장한 자연을 누리도록 설계됐다. 범섬을 마주보는 해안 절벽 위 2만6830㎡ 규모의 부지에 자리 잡은 공간과 드넓은 바다의 절경은 보는 이들의 감탄을 자아낸다. 또한 올레 7코스는 리조트와 직접 연결돼 편하게 거닐 수 있다.

 

JW 메리어트 제주는 브랜드의 철학을 그대로 경험할 수 있는 리조트 디자인과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28개의 스위트룸을 포함해 총 198개의 객실을 갖추었으며, 6개의 식음 업장을 비롯한 온천 및 스파, 실내외 수영장, 키즈클럽 등의 부대시설과 다양한 고객 체험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세계적인 건축가이자 럭셔리 호텔 및 리조트 디자이너 빌 벤슬리(Bill Bensley) 손에서 태어난 JW 메리어트 제주는 객실 및 리조트 디자인 곳곳에 제주의 농어업에서 받은 영감이 반영됐다. 고급 원목을 사용한 가구와 노란색 톤의 인테리어는 따뜻하고 포근한 느낌을 선사한다. 스위트는 92㎡ 크기이며, 45㎡인 디럭스룸의 경우 독립된 별도의 파우더룸도 갖춰 있어 모든 투숙객이 여유로움을 누릴 수 있도록 지어졌다. 성인 2명이 함께 들어가도 넉넉한 크기의 대리석 욕조는 바다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대부분 객실에 비치돼 있다.

 

제주 본연의 맛을 담은 리조트 내 다이닝도 주목할만하다. 올데이 다이닝 레스토랑인 아일랜드 키친은 제주 최고급 식재료와 전 세계 진미를 한자리에서 맛볼 수 있는 레스토랑이다. 더 플라잉 호그는 시그니처 우드파이어 오븐에서 직화한 제주 흑돼지 등의 직화 요리를 제공한다. 커피 마스터가 상주하는 로비 라운지는 스페셜티 커피와 시그니처 하이티 세트를 마련했다. 온천 내 위치한 핫 스프링 카페는 온천 이용 고객이 제주 현지 음식을 먹으며 휴식을 취할 수 있고, 인피니티 풀의 풀 바에서는 음료 및 간단한 스낵을 즐길 수 있다.

 

투숙객들은 대규모 온천 및 4개의 실내외 수영장, 유명 브랜드 스파에서 피로를 풀 수도 있다. 제주 최대 규모의 온천에 다양한 테마를 가진 찜질방, 사우나, 온천수를 이용한 바데풀과 인피니티 풀이 포함됐다. 어린이를 동반한 가족 고객을 위해 키즈 플레이그라운드와 키즈 클럽, 어린이 전용 수영장이 마련되며, 브랜드 프로그램인 '패밀리 바이 JW'를 통해 다양한 액티비티를 함께할 수 있다.

 

그랜드 볼룸 및 중소규모 미팅룸은 어둡고 막혀 있는 연회장이 아닌 빌 벤슬리의 디자인이 반영돼 제주의 공기와 채광이 깃든 공간으로, 최신식의 미디어 월과 장비를 보유하고 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