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IT/인터넷

KT, 국내 최초 5G SA(단독모드) 상용화...경쟁사 "오히려 속도 느려진다"

KT는 15일 5G 네트워크만 사용하는 단독모드(SA) 상용 서비스를 발표해, 국내 최초의 5G SA 상용화가 시작됐다. 하지만 경쟁사들은 5G SA 방식은 기존의 5G와 LTE 홉합방식인 NSA(비단독모드)에 비해 속도가 느려지는 단점이 있는 데도 "KT가 무리하게 전환에 나서는 것"이라며 소비자들의 불만을 우려하고 있다.

 

이에 따라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5G SA 도입에 신중을 기하는 모양새다. LG유플러스는 5G SA 서비스에 대한 기술적인 준비를 마치고, 망 구축 등 환경을 고려해 상용화 시점을 고려한다는 계획이며, SK텔레콤은 B2B(기업간) 사업장에 대해 먼저 서비스를 시작하고, 차세대 SA 도입을 검토 중이지만, 일반인 대상 서비스는 신중히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KT가 발빠르게 5G SA 상용화에 나선 것은, 국내 최초로 이통사 중 유일하게 상용화를 시작함으로써 무선 분야의 헤게모니를 쥐기 위한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관련업계에서는 KT가 5G SA 서비스에 나섬으로써 5G 최대 속도가 1.0Gbps나 줄어들 수 있다며 우려하고 있다.

 

◆KT, 삼성 갤럭시 3종 단말기서 5G SA 상용 서비스 개시

 

KT가 15일부터 5G SA 상용서비스를 시작해 우선 삼성 갤럭시S20, S20+, S20 울트라 3종의 단말에서 제공한다고 밝혔다. 또 제조사와 협력해 적용 단말을 확대할 계획이다. SA 전환을 원할 경우, 단말 메뉴에서 '설정-소프트웨어 업데이트-다운로드 및 설치' 후 1회 더 재부팅하면 이용 가능하다.

 

SA에서는 관련기관 협의와 시스템 개발을 거쳐 올해 연말부터 더 정교한 재난문자 서비스가 가능해질 예정이다. LTE 기지국 기반 재난문자는 불필요한 인근 지역 정보까지 수신되는 경우가 있었다. 하지만 SA에서는 위치한 지역의 재난문자만 제공해 이용자 불편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T는 2019년 NSA 방식 5G 서비스를 시작할 때부터 SA로 진화를 염두에 두고 네트워크를 구축했다고 밝혔다. 또 SA 상용망 제공을 위해 기술 개발과 필드 검증을 지속했다. 올해 1월부터 KT 임직원을 대상으로 전국 5G 상용망에서 SA 시범서비스를 실시하는 등 고객 체감품질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5G 개시 후 2년 3개월여 만에 상용화되는 SA 서비스는 스마트폰 이용자 뿐 아니라 산업에도 5G가 적용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관련업계, "5G SA 장점 있지만 속도 저하 가능성 크다"...'초기 5G 속도 과대포장' 재연 우려도

 

KT는 SA 방식이 NSA에 비해 더 오래 배터리를 사용하고, 빠른 반응속도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실제,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가 삼성 갤럭시S20+ 단말로 SA와 NSA의 배터리 사용시간을 비교 시험한 결과, SA(13시간 38분)는 NSA(12시간 32분)보다 최대 1시간 6분(8.8%)을 더 오래 쓰는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이론적으로만 따져보면 KT의 5G 서비스가 NSA 방식에서 최대 속도가 다운로드 기준 2.5Gbps까지 나오지만, SA 방식으로는 최대 1.5Gbps까지만 나온다는 문제가 생긴다.

 

한 업계 관계자는 "NSA 서비스에서 SKT가 최대 속도가 2.75Gbps가 나오고 LG유플러스도 2.1Gbps가 나오는데, KT가 SA 방식으로 전환해 1.5Gbps 밖에 나오지 않는다면 소비자들의 불만이 급증할 수 밖에 없다"며 "KT는 체감상 별 차이가 없다는 점을 내세우고, 배터리 사용이 늘어나는 등 강점 만을 내세우지만, 이는 결국 5G 때처럼 소비자 비난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5G 상용화 초기 이통사들은 속도를 과대 포장해 발표했지만, 결국 성능이 기대했던 수준에 크게 미치지 못하면서 아직까지도 비판이 계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KT는 SA 방식으로 전환해도 속도는 전혀 저하되지 않는다고 반박했다. KT 관계자는 "5G와 LTE를 혼합해 사용했을 때 이론적으로 최대 속도가 2.5Gbps까지 나온다는 말이지, KT는 처음부터 '5G 퍼스트 전략'을 사용해 트래픽을 5G로만 보내 1.5Gbps를 유지해왔다"며 "SA 방식에서도 이 속도는 그대로 유지된다"고 밝혔다.

 

KT는 또 이통사들이 5G NSA 방식에서 최대 2.75Gbps 속도가 나온다는 점을 강조해왔지만, 이는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진행한 품질평가에서는 다운로드 속도가 SKT 795.57Mbps, KT 667.48Mbps, LGU유플러스가 608.49Mbps 밖에 나오지 않은 것을 보면, 업체들이 발표한 최대 속도는 "아무 의미가 없다"고 주장했다.

 

◆이통사, NSA 방식 놓고도 '갑론을박'

 

이동통신사들은 NSA 서비스 방식을 놓고도 갑론을박을 벌이고 있다.

 

KT는 SA 서비스에 국제표준화단체인 3GPP(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가 규정한 5G 규격 중 옵션2 방식을 선택했는데, SKT는 옵션4 방식으로 SA 서비스에 나서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옵션4는 NSA처럼 LTE와 5G를 동시에 쓰는 방식으로, LTE가 작동하지 않을 때 5G 단독 통신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NSA와 차이가 있다.

 

KT는 옵션4는 명확한 의미의 SA 서비스가 아니라고 주장하고 있으며, SKT는 옵션4는 국제표준에 규정된 SA 서비스 방식으로, 오히려 옵션2와 옵션3의 장점 만을 모아놓은 차세대 SA라고 강조하고 있다. 이 같은 논란이 계속됨에 따라 LG유플러스는 "옵션 2 방식의 검증을 마치고 향후 표준화 등을 고려해 옵션 4 방식도 준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