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자동차

아이나비시스템즈, '레벨4 수준 자율주행 차량플랫폼 개발' 국책과제 선정

산업부·과기부 등 수행 과제에 컨소시엄으로 참여

 

팅크웨어 자회사인 모빌리티 플랫폼 전문 기업 아이나비시스템즈가 정부에서 주관하는 '자율주행 기술개발 혁신사업' 중 '지정구역기반(Point-to-Point) 승합차급 레벨4 수준 자율주행 차량플랫폼 기술개발' 국책 연구과제에 최종 선정됐다.

 

7일 팅크웨어에 따르면 이번 사업은 아이나비시스템즈·소네트 주도로 팅크웨어, 스트리스, DGIST(대구경북과학기술원)가 컨소시엄으로 참여했다.

 

해당 국책과제는 '자율주행 기술개발 혁신사업'의 일환으로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토교통부, 경찰청 4개 부처가 공동 기획·수행하며, 융합형 레벨4 자율주행 기술 상용화를 목표로 7년간 5대 분야에 약 1조1000억원의 사업비가 지원되는 주요 사업이다.

 

아이나비시스템즈·소네트 컨소시엄은 이 중 산업부 차량융합 신기술 분야 내 '지정구역기반(Point to Point) 이동 가능한 레벨4 수준 승합차급 올인원 자율주행 차량플랫폼 기술개발' 연구과제 사업에 선정되어 올해부터 2025년까지 5년간 로봇택시, 셔틀버스 등에 적용되는 레벨4 수준의 자율주행 서비스용 플랫폼 및 차량 통합 기술을 연구, 개발해 상용화 할 예정이다. 자율주행 레벨4의 경우, 주행 시 운전자 도움이 필요 없는 완전 자율주행이 가능한 기술로 불린다.

 

이번 사업에서 ▲아이나비시스템즈는 자체 지도엔진 및 경로생성 알고리즘 개발 ▲소네트는 인지, 판단, 제어를 위한 자율주행 SW 풀스텍 개발 및 운영 ▲팅크웨어는 전장기반 자율주행 플랫폼 HW 개발 ▲DGIST는 자율주행 안전 설계 기술개발 ▲스트리스는 자체 HD 정밀지도 맵 데이터 구축 및 제공 등의 각각의 역할을 담당하며 단계별로 사업화를 위한 연구 개발을 진행하게 된다. 특히 소네트는 이미 중소기업 최초 자율차 임시주행허가를 취득해 레벨4 자율차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빠른 기술개발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연구 사업을 통해 아이나비시스템즈·소네트 컨소시엄은 로봇택시(차량호출) 서비스 개발 및 공공기관 및 지자체 등에 시범 운영해 자율주행 서비스 사업자로 매출을 다각화 할 계획이다. 셔틀을 이용한 교통약자 이동 지원, 일정 구간별 물류, 청소차량 운영 등 도시안전 및 운영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민관 서비스를 개발하는 등 정부 자율주행 융합 신기술 개발과 더불어 관련 사업 발굴, 육성에 기여할 방침이다.

 

아이나비시스템즈 한종국 사업부문 이사는 "당사의 강점인 지도 빅데이터와 솔루션을 기반으로 자율주행 기술시장에 대한 진출을 본격화하게 됐다는 것에 큰 의미가 있다"면서 "컨소시엄을 이룬 각 사의 장점을 기반으로 한 완성도 높은 자율주행차 전용 서비스 플랫폼 개발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