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기사나 자료를 볼 때면 이순신 장군이 점(占)을 친 얘기가 실려 있었다. 내용을 보니 임진왜란 당시 "난중일기"에 만도 17번이나 점을 친 내용이 나오는데 이 중 14번이 홀로 앉아 점을 쳤다는 것이다.
달 밝은 밤에 홀로 앉아 점을 쳤다는 대목은 고독한 장군으로서 의사 결정자로서 수심 깊은 고민의 한 단면을 보여주는 것 같아 마음이 짠해져온다. 점을 친 내용도 소개가 되어 있었는데 아들인 이(李) 면이 병이 난 지 한 달이 되었는데 낫지 않자 걱정하다가 홀로 앉아 점을 쳤는가 하면, 아내가 위독하다는 소식에 역시 앉았다 누웠다 잠 못 이룬 채 뒤척이다 이른 아침 세수하고 조용히 앉아 점을 쳤다는 것이다.
특히 왜적의 출현여부나 장문포 전투 직전엔 전투를 걱정하면서, 마음을 나누던 영의정 류성룡의 사망 설에 당혹스러워서 홀로 점을 쳤다. 비가 많이 내리는 걸 걱정하면서도 점을 쳤다고도 되어있다.
충무공은 좋은 괘가 나오면 '마음을 놓았다', '매우 길하다'며 기뻐했고 앞으로도 계속 비가 내릴 괘가 나오자 농사일을 염려했다 하니 불확실한 미래 앞에서 장군으로서 한 인간으로서의 고뇌와 외로움이 절절하게 느껴진다고도 되어있었다.
더불어 그 글을 쓴 이는 "점(占) 그건 참 허망한 것이다."라는 감상도 함께 적어놓았다. 그 말에 점이란 것이 현대에서 대접을 받기에는 너무나도 많은 착오와 잘못 판단된 이용 괘의 풀이 등이 난무하기 때문이란 생각이다. 관련 사이트나 블로거들이 많아 나름 명리나 점에 관한 세간의 관심이 많음에 놀라기도 하다.
그러나 굳이 이순신장군의 점과 관련한 얘기들 예를 들지 않더라도 기실 점법은 예로부터 있어 온 수학적 학문(學文)이다. 사서삼경의 하나인 주역(周易)도 그러하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