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Fun&Joy>사주

[김상회의 사주속으로] 미완의 과제

 

image

'인수격 성품의 소유자' 특징을 단적으로 말하자면 상대적으로 '덕성'(德性)이 많다. 자식을 생각하는 어머니의 마음 아낌없이 주는 마음의 성향이 높으며 무엇보다 염치를 아는 마음이 많은 성품이 된다.

 

친구 중에 인수격의 친구가 있다면 우선 친구 삼고 볼 일이다. 친구를 통해 덕을 보겠다는 이유는 아니다. 이해 염치심이 많으며 잘못된 행동 자체를 꺼려하는 성품 때문에 좋지 않은 의미로 유류상종하게 되는 일은 굳이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물론 이러한 해석은 다른 지지나 천간이 구성이 원만할 때 주효하지만 대체적으로 우선은 무리가 덜하다. 하나 어떤 이들은 인색할 수도 있다. 대체적으로 염치가 좋지마는 혹여 인수가 충을 받거나 합이 태과하면 인색하고 궁상스러울 만큼 돈을 아끼는 성향도 있다.

 

그리고 심심한 성품이 될 수도 있다. 기존 통념이나 사회적 관습의 눈치를 보는 성향이라 음주가무성 취미도 약하며 혹 그런 자리에 가더라도 멍석체질이 된다.

 

아직은 어떤 객관적인 연구를 시도해본 것은 아니지만 팔자구조 즉 일간과 사주격을 대입시켜 인생살이의 총체적인 문제 양식을 살펴본다면 이 역시 훌륭한 사회행동 양식에 대한 통계자료가 될 수 있다고 본다.

 

경험적으로도 확신을 가질 수 있으나 실증적인 수치와 통계를 보여줄 때라야 사람들은 학문적으로도 인정할 것이다. 명리학은 행동심리학이라고도 하던 차였기에 이를 객관적인 통계수치로 보여줄 수 있는 연구를 해보려 했으나 현실적인 여러 제약으로 시도해보지는 못하고 있다.

 

필자의 월광사(月光寺)부설 강의실 이름을 '김상회역학연구원'으로 한 것도 이런 의지에서였다. 두 번 강산이 변할 만큼의 시간을 보냈으나 전술한 역학연구는 아직 미완의 과제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