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사기로'에 놓인 쌍용자동차의 기업 회생절차(법정관리) 개시 여부가 이번 주중에는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기존 협상 대상자인 HAAH오토모티브를 비롯해 6∼7곳이 인수 의향을 밝힌 가운데 법원은 일단 회생절차에 돌입하면 속도를 내 조기졸업을 끌어내겠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법원 회생절차 이후 쌍용차의 미래에 업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다만 조기졸업을 위해서는 노사간 풀어야할 숙제도 산적해있다.
◆ 회생절차 이후 새로운 인수자 찾기
11일 업계에 따르면 서울회생법원은 9일 쌍용차 기업회생절차 관리인 선임을 위해 정용원 쌍용차 기획관리본부장(전무)을 단수 후보로 정해 대법원 회생파산위원회와 채권자협의회에 의견을 조회했다.
이는 예병태 쌍용차 사장이 HAAH오토모티브의 매각 협상의 실패에 대한 책임을 지고 물러나면서 제3자 관리인 선임이 필요해졌기 때문이다. 앞서 지난 7일 예 사장은 전 임직원에게 이메일로 "경영을 책임져온 대표이사로서 그 결과에 대해 책임지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도리라고 생각한다"며 투자 유치 실패의 책임을 지고 물러날것을 알렸다.
현재 예 사장의 후임은 결정되지 않았지만 정용원 쌍용차 기획관리본부장(전무)가 바통을 이어받을 가능성이 높다. 쌍용차 노조는 예 사장의 관리인 선임에 반대하며 정 전무를 선임해달라는 탄원서를 내기도 했다.
쌍용차가 정 전무 중심으로 회생 개시 결정 등의 절차를 빠르게 진행해 법정관리를 조기졸업하더라도 생존을 위해서는 인수·합병(M&A) 추진이 필수적이다. 기업계속가치보다 청산가치가 클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라 파산을 면하려면 새로운 투자자가 나타나야 한다.
쌍용차는 5000여명의 직접고용 인력이 있으며, 협력사까지 합산하면 수만 명의 고용과 연관돼 있다는 점에서 법원은 청산보다는 공개 입찰을 통해 인수 적임자를 찾는 작업에 무게를 두고 있을 것으로 보인다.
법원이 공개 매각을 진행하면 유력 투자자였던 HAAH오토모티브도 입찰에 참여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 국내 전기버스 제조업체인 에디슨모터스를 비롯해 전기차 업체 케이팝모터스, 사모펀드 계열사로 알려진 박석전앤컴퍼니 등이 쌍용차 인수 의향을 내비친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안팎에서는 6∼7곳이 쌍용차에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보고 있다.
◆노조 대대적인 체질개선 협조해야
쌍용차가 이번 법정관리를 조기졸업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대대적인 체질개선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노조의 적극적은 협조가 절실한 상황이다.
쌍용차가 법정관리 수순을 밟게 되면서 대대적인 임금 삭감이 자체 회생방안의 핵심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법원이 법정관리 조기졸업을 목표로 하고 있는 만큼 당장 인력 구조조정은 단기간 이뤄지기 어렵다고 판단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회사가 대규모 구조조정을 실시할 경우 노조의 반발도 클것으로 보인다. 노조측은 지난해부터 진행된 임금삭감 및 복지중단 등 1000억원 규모의 자구안을 감내하면서 회사 위기극복에 동참해 왔으며 추가 구조조정이 진행될 경우 물러서지 않겠다는 입장을 내비친 상태다.
쌍용차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임원을 제외한 직원들의 지난해 평균 급여는 6600만원으로 2019년 평균급여 8600만원에서 2000만원(약 23%)이 줄었다. 2019년 12월 노사가 결정한 임금 삭감 합의에 따른 것이다. 여기에 추가로 20% 이상 축소되면 평균 임금 수준은 과거 법정관리 졸업시점인 2011년 5400만원보다 낮아지게 된다.
업계 관계자는 "쌍용차 노조 입장도 이해가 가지만 법정관리 조기졸업을 위해서는 대규모 구조조정은 불가피할 것"이라며 "구조조정을 둘러싸고 노사 갈등이 심화될 경우 과거 쌍용차 사태가 반복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HAAH오토모티브의 인수 의지가 유효한데다 법원의 회생 절차를 거치며 쌍용차가 몸집을 줄이게 되면 투자자를 설득하기도 더 쉬울 것"이라며 "새로운 투자자를 찾기 위해서는 강력한 구조조정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