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자동차

미쉐린, 타이어업계 친환경 녹색바람 예고…2050년 100% 지속 가능한 타이어 생산

미쉐린 2050년까지 100% 지속 가능한 타이어 생산.

미쉐린이 타이어업계에 친환경 녹색바람 질주를 예고했다.

 

미쉐린은 오는 2050년까지 자사가 생산하는 모든 타이어를 100% 지속 가능하도록 만들겠다고 25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지난 2017년 미쉐린은 에어리스와 커넥티드, 재충전이라는 혁신적인 콘셉트를 도입하고, 완벽하게 지속 가능한 미래 타이어 '비전 콘셉트 타이어'를 발표한 바 있다. 이후 2050년까지 100% 지속 가능한 타이어를 만들겠다는 목표 달성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펼치고 있다. 현재 미쉐린 그룹에서 제조되는 타이어 약 30%에 달하는 소재가 천연, 재활용 혹은 기타 지속 가능한 원료로 이루어져 있다.

 

미쉐린 타이어는 200개 이상의 성분으로 구성된 최첨단 기술로 만들어진다. 주 원료는 천연 고무지만, 합성 고무, 금속, 섬유와 타이어 구조를 보강하는 카본블랙, 실리카, 가소제(레진 등) 등 다양한 재료가 사용된다. 완벽하게 균형 잡힌 이 구성요소들이 상호적으로 작용해 성능, 주행성 및 안전성의 균형을 최적으로 맞추는 동시에 타이어가 환경에 끼치는 영향을 지속적으로 줄여 나가고 있다.

 

혁신의 속도와 본질에는 새로운 형태의 협업이 필요하다. 이는 미쉐린이 무한한 발전 가능성을 가진 혁신 기업 및 스타트업들과 파트너십을 구축한 이유다. 개발된 기술들은 타이어 분야를 넘어 다른 산업 분야에서도 사용돼 무한 재사용 가능한 회수된 원료로부터 많은 혜택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기술들은 폐타이어에서 나오는 폴리스티렌을 재활용하고 카본 블랙이나 열분해 오일을 회수할 수 있게 한다.

 

바이오버터플라이 프로젝트를 통해 악센스와 IFP 에너지 누벨은 석유에서 추출한 부타디엔을 대체하는 바이오 소재 부타디엔을 생산하기 위해 미쉐린과 2019년부터 협업해왔다. 폐 목재·쌀겨·나뭇잎·옥수수대와 같은 생물 폐기물을 사용했고, 그 결과 매년 420만 톤의 목재 칩들이 미쉐린 타이어에 사용됐다.

 

미쉐린과 캐나다 회사인 파이로웨이브는 2020년 11월 파트너십을 맺고 요거트 병·식품 용기·단열패널과 같은 포장에서 재활용된 스티렌을 생산했다. 스티렌은 폴리스티렌뿐만 아니라 타이어, 여러 다른 종류의 소비재에 사용되는 합성고무 생산에 중요한 물질이다. 따라서, 매년 수만 톤의 폴리스티렌 폐기물은 미쉐린 타이어뿐만 아니라 재활용되기 전 제품으로 재사용될 수 있다.

 

프랑스 스타트업인 카비오스는 플라스틱 폐기물을 본래의 순수 원료로 분해하기 위해 효소를 사용한다. 회수된 원료는 새로운 PET 플라스틱을 제작하는 데 무한히 재사용할 수 있다. 회수된 플라스틱들 중 일부는 타이어 제작에 필요한 폴리에스테르 원사로 사용된다. 잠재적으로 매년 약 40억개의 플라스틱병이 미쉐린 타이어로 재활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미쉐린은 2021년 2월 엔바이로와 협업해 세계 최초의 타이어 재활용 공장을 건설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엔바이로는 스웨덴 회사로서 수명을 다 한 타이어에서 나오는 카본 블랙, 열분해 오일, 철, 가스와 다른 새롭고 고품질의 재활용 가능한 재료들을 회수하는 특허 기술을 개발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