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증권일반

네오이뮨텍, 글로벌 면역항암제 시장 선도

네오이뮨택이 기술특례제도를 활용해 코스닥시장에 입성한다. 양세환 네오이뮨텍 대표이사./네오이뮨텍

"혁신신약 개발로 글로벌 면역항암제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나아가겠다."

 

양세환 네오이뮨택 대표이사는 22일 서울 여의도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코스닥 상장에 따른 향후 사업 비전과 전략을 밝혔다.

 

2014년 설립된 네오이뮨텍은 T 세포 중심의 차세대 면역항암 신약을 연구개발하는 생명공학 업체다. 본사는 미국 동부 메릴랜드(Maryland)에 위치해 있으며 코스닥 상장사 제넥신 관계사다. 현재 판교 소재 한국법인과 포항공대 내 기업부설연구소를 보유하고 있다.

 

주력 파이프라인은 제넥신으로부터 기술을 도입한 면역항암 신약 'NT-I7'로 체내 면역 세포(림프구) 일종인 T 세포의 증폭을 유도하는 퍼스트 인 클래스(First-in-Class·혁신 신약) 차세대 면역항암제다.

 

인체에서 T 세포는 면역항암 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소로 임상을 통해 T 세포 증폭 및 항암 효능이 확인된 의약품은 네오이뮨텍의 'NT-I7'이 유일하다. 근육에 주사해 체내에서 T 세포의 증폭·재활성·이동을 촉진하는 기전을 통해 T 세포가 암이나 감염 세포를 효과적으로 사멸시키도록 하는 것이 NT-I7 기술 핵심이다.

 

NT-I7은 단독 투여뿐만 아니라 다른 항암치료제 및 감염질환 치료제와 병용 투여를 통해 최적의 치료 요법을 구성할 수 있다. 현재 ▲단독치료제 'MONO-7' ▲화학치료제 병용 'CR-7' ▲면역관문억제제 병용 'CHECK-7' ▲CAR-T 세포치료제 병용 'CAR-7' ▲감염질환 백신 병용 'VAX-7' 등 세분화된 프로그램을 통해 NT-I7의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네오이뮨텍은 글로벌 면역항암제 시장의 80%를 차지하는 북미, 중미, 남미, 유럽 지역 시장에서 NT-I7 권리를 보유했다. 전 세계 면역항암제 시장은 2019년 기준 238억7000만달러(약 26조4000억원) 규모로 2025년에는 548억4000만달러(약 60조7000억원)까지 확대될 것이라는 게 회사 측 전망이다.

 

기존 항암치료제와 병용 투여 시 치료 효과 시너지가 기대됨에 따라 머크(Merck), BMS, 로슈(Roche) 등 유수의 글로벌 제약사들과 공동 임상 계약을 체결해 병용 투여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개발을 추진 중이다.

 

네오이뮨텍은 ▲차별화된 작용기전 기반 First-in-Class의 기술적 경쟁 우위 ▲글로벌 빅파마들과 연구개발 및 임상 협력 네트워크 ▲기존 면역관문억제제 병용 투여를 통한 높은 시너지 잠재력 ▲미국 다수 의료기관 및 정부 보건당국과 긴밀한 협력 체계 ▲플랫폼 기술로서 다양한 적응증에 대한 높은 확장성 등 'NT-I7'의 핵심 경쟁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을 확대해 나간다는 전략이다.

 

양세환 대표이사는 "신약 개발 파이프라인을 강화하고 글로벌 임상 및 사업화에 주력함으로써 기업가치와 경쟁력을 극대화할 것"이라며 "면역과 감염질환의 혁신 치료제를 개발하는 한편, 글로벌 면역항암제 시장 선도 기업으로 도약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네오이뮨텍의 총 공모주식수는 1500만DR(증권예탁증권)로 주당 공모희방밴드는 5400원~6400원이다. 오는 23일과 24일 수요예측을 거쳐 최종 공모가를 확정한 이후 3월4일과 5일 양일간 일반 청약을 진행한다. 기술특례를 통해 3월 중순경 코스닥시장에 상장할 예정이다. 상장주관사는 하나금융투자와 미래에셋대우가 맡았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