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사회일반

11월 ICT 수출 1년 전보다 15.8%↑… 6개월 연속 증가

11월 ICT 수출 1년 전보다 15.8%↑… 6개월 연속 증가

 

일본 제외 중국·베트남 등 주요국으로 수출 모두 증가

 

정세균 국무총리가 지난 5일 오전 인천시 인천신항 선광 신컨테이너터미널을 방문해 수출입현황과 인천항 현황을 보고 받은 후 선적작업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총리실·뉴시스

국산 반도체와 휴대폰 등 정보통신기술(ICT) 수출이 전년 대비 6개월 연속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국으로의 수출이 모두 증가한 반면, 대(對)일본 수출만 감소했다.

 

15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11월 ICT 수출 현황에 따르면, 지난달 ICT 수출은 165억6000만불, 수입은 103억8000만불로 무역수지는 61억8000만불 흑자로 잠정 집계됐다. ICT 수출액은 1년 전보다 15.8% 증가하며, 6개월 연속 증가다. 일평균 수출도 7억2000만불(23일)로 전년 동월(6.1억불, 223.5일) 대비 18.3% 증가했다.

 

주요 품목별로 보면, 반도체(16.1%↑)의 경우는 메모리는 수출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고, 시스템 반도체는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 등 전반적인 수요 확대가 지속되며 5개월 연속 증가다. 특히 시스템반도체는 1996년 이후 월간 최고 수출액(29억8000만불)을 달성했다.

 

디스플레이 패널(27.7%↑) 수출은 액정표시장치(LCD) 단가 상승과 모바일 수요 확대로 인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증가에 힘입어 크게 증가했다.

 

휴대폰(24.9%↑)은 국내 A사의 신규 스마트폰 출시와 블랙프라이데이, 박싱 데이 등 연말 특수로 인한 수요 확대 영향으로 완제품과 부분품 수출이 동시에 증가하며, 4개월 만에 수출 증가로 전환했다. 특히 중국으로의 부분품 수출(103%↑), 미국으로의 완제품 수출(31.2%↑)이 주요 증가 요인이었다.

 

컴퓨터·주변기기(4.7%↑)는 태블릿PC 부품과 보조기업장치(SSD 등)를 중심으로 한 수요 증가로 14개월 연속 수출이 증가하고 있다. IDC에 따르면, 2021년 세계 태블릿PC 성장률은 3.8%, SSD시장 성장률은 10.3%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주요 지역별로는 중국(홍콩포함, 8.1%↑), 베트남(35.2%↑), 미국(19.4%↑), 유럽연합(24.9%↑)이 증가했으나, 일본(13.8%↓)은 감소했다. 중국은 반도체와 휴대폰 위주로, 베트남은 디스플레이와 반도체 위주로 각각 3개월 연속 증가세다. 미국과 유럽연합은 각각 11개월, 3개월 연속 증가했다. 일본은 반도체(-28.7%), 디스플레이(-37.1%) 등 주요 품목 수출이 줄었다.

 

지난달 ICT 수입은 103억8000만불로 전년 동월대비 14.2% 증가했다. 품목별로 반도체(45.9억불, 24.2%↑), 휴대폰(11.1억불, 0.4%↑), 컴퓨터·주변기기(12.0억불, 8.4%↑)는 증가했으나, 디스플레이(2.6억불, 17.6%↓)는 감소했다. 지역별로, 대만(11.8억불, 23.3%↑), 일본(9.4억불, 17.3%↑), 유럽연합(5.6억불, 2.5%↑)은 증가했고, 중국(홍콩포함, 38.5억불, 3.9%↓), 베트남(6.1억불, 22.3%↓), 미국(6.8억불, 5.4%↓)은 줄었다.

 

품목별 ICT 무역수지 흑자규모는 반도체가 40억8000만불로 가장 컸고, 디스플레이(19억3000만불), 휴대폰(1억6000만불) 순이었다. 국가별로는 대(對) 중국(홍콩포함) 무역수지가 38억7000만불로 가장 많았고, 베트남(22억2000만불), 미국(12억불), 유럽연합(5억2000만불)은 흑자 기조를 지속했다. 대(對) 일 적자는 6억1000만불을 기록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