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스타트업들이 가상·증강현실(VR·AR) 게임 시장에 진출할 때 '차별화 전략'으로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디지털 의료 분야에 진출해 확장현실(XR) 디지털 헬스케어 대표 기업으로 자리매김한 오썸피아가 주목을 받고 있다. XR은 VR·AR에서 더 나아가 MR(혼합현실)을 비롯해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차세대 기술도 포함한다.
민문호 오썸피아 대표는 "IT 문화 융합 디지털 콘텐츠 사업을 계속 해왔기 때문에 VR·AR로 시장이 움직이겠다는 확신이 들어, 2014년 VR·AR이 주목을 받기 이전부터 사업을 준비했다"며 "2015년 3월 AI를 접목한 지능형 VR·AR 사업으로 시장에 진입했다"고 말했다.
페이스북이 2014년 VR 헤드셋 제조사인 오큘러스를 인수하면서 VR·AR이 주목을 받았고, 삼성전자가 2015년 겨울 '기어 VR' 디바이스를 내놓으며 많은 스타트업들이 이 시장에 뛰어들었다.
민 대표는 웅진그룹에서 뉴미디어본부 사업팀장을 지낸 후 IT 문화 융합 비즈니스 기업 2곳에서 전문경영인을 지내 디지털 콘텐츠 사업에 상당한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 또 한양대 경영대학원에서 겸임교수로 일하고 있으며, 한국디지털테라퓨틱스 협동조합의 이사장도 맡고 있다.
"VR·AR 게임 시장에서는 엔씨소프트·넥슨과 경쟁해야 하는데, 이들보다 게임을 더 잘 만들 수 없다고 판단했어요. 다른 기업과 차별화를 꾀했고 설립 다음해 지연 타임을 1초 미만으로 줄인 VR 생중계 기술을 국내 최초로 개발해 KT에 납품할 수 있었습니다."
VR·AR 선발주자인 만큼 우선 자신 있는 교육, 문화, 관광 사업으로 시작하기로 결심했다.
"유익한 일을 해보자는 생각도 컸어요. 외교부에서 독도·울릉도를 알리는 VR 콘텐츠를 제작하는 과제를 따내, 저희가 만든 콘텐츠가 각국 대사관에 공급됐습니다. 구글에 제주도 해녀 다큐를 VR로 만들어 납품해 피처드 앱(우수앱)으로 선정되기도 했어요."
평창 동계올림픽에는 '포켓몬 고' 게임의 좋은 점만 딴 AR를 만들어 공급할 수 있었다.
"3년 전 전남 지역을 둘러보다 '흉물이 된 망원경을 대체할 만한 유익한 망원경이 필요하다'는 얘기를 들은 후 지능형 망원경을 개발했습니다. AI 기반 XR 망원경 개발을 완료해 11일 파주 도라 전망대에 3대를 설치합니다. 우리나라가 유일한 분단국가이기 때문에 해외 인사가 방문하면 파주 도라 전망대를 자주 가는데, 오래된 망원경을 대체하게 됩니다."
XR 망원경은 딥러닝 기술을 적용해 망원경으로 보이는 풍경 지형을 표시해주고, 명소를 클릭하면 설명을 4개 국어로 보여주거나 음성으로 읽어준다.
"전망대에 아침에 방문했는데 안개가 껴서 안 보이면 실망감이 커요. 이 때 클리어 버전을 누르면 안개가 걷힌 풍경을 보여줘요. 봄, 여름, 가을, 겨울 버전이 있어 봄에 가도 겨울 풍경을 감상할 수 있어요."
또 'DMZ 안에 희귀동물은 어떤 종류가 있나?' 호기심을 갖게 되는데, 망원경은 자연생태계나 역사적 스토리를 소개하는 학습 콘텐츠도 제공한다.
그는 "전국 지자체들에서 문의가 이어져, 내년에 XR 망원경을 남산, 한강, 서촌 등 서울의 명소는 물론 부여, 공주 등 국내 50개 지자체 등에 300세트 이상 공급하는게 목표하는 게 목표"라고 밝혔다.
또 망원경 보급이 확대되면 가상관광 서비스로 개발할 계획인데, 코로나19로 해외에 가고 싶어도 못 가는 사람이 모바일로 내가 가고 싶은 나라의 현지 모습을 보게 된다면 소비자의 니즈도 충족시킬 것으로 보고 있다.
"저는 3년 전에 글로벌로 디지털 의료 시장이 크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고, 중장기적으로 회사를 키우기 위해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에 진출했습니다. 1세대 치료제는 약, 2세대는 바이오, 3세대는 앱이나 게임을 이용한 디지털 치료제여서, 저희는 디지털치료제 개발하고 있습니다."
때마침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서 병원과 ICT 기업이 혁신 모델을 공동 개발하도록 '개방형 실험실' 운영병원 5개를 지정했는데, 가장 큰 규모의 고대 구로병원이 입주기업 17개사를 선정하면서 오썸피아가 실감미디어 대표 기업으로 선정된 것. 그 후 재활의학과, 뇌신경과 교수들과 만나 디지털치료제 사업을 구체화할 수 있었다.
"올해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창업 사업화지원 과제에 선정돼 재활의학과 교수와 상지 재활 솔루션 개발을 진행 중입니다. 뇌졸중 등으로 물건을 짚을 때 팔이 불편을 느끼는 경우가 많은데, 사과 따는 게임으로 손을 뻗는 운동을 하게 합니다. 내년 1분기에 병원용, 가정용 2가지 버전을 출시할 계획입니다."
지난달 말 개최된 'K디멘시아 2020'에서도 과기정통부 국가과제인 '휴먼케어 기술센터'에 선정돼 개발한 실버트레이닝 솔루션을 시연해 좋은 평가를 받았다. 실버세대가 TV를 이용해 게임을 하며 꼭 필요한 운동을 하도록 하기 위해 개발됐다.
"요양보호사 협회 임원이 오셔서 요양보호사들이 이 제품으로 운동을 시켜주면 좋겠다고 하더라구요. 통신사들이 최근 홈트레이닝 서비스 제공에 힘을 쏟는 만큼, 이 기술을 응용해 XR 홈트를 제공하는 방안도 협의 중입니다."
내년에 제품 출시와 해외 시장 진출을 위해 자금이 필요한 만큼 현재 시리즈 A 투자 유치도 진행하고 있다. 3년 후 코스닥 상장도 목표로 하고 있다.
"내후년에 해외에 본격 진출할 계획인데, 미국, 캐나다, 스웨덴 등과 디지털 의료 제휴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 많은 사람들이 가고 싶어하는 유럽, 남미 에 망원경을 공급해 가상관광 서비스를 개발하고, 베트남 등 신남방 진출도 추진할 생각입니다."
디지털 치료제는 허가가 필요한 만큼 상용화에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코로나로 집에서 할 수 있는 콘텐츠를 찾으면서 기업에서 협업 문의가 10배 정도 늘었습니다. 당분간은 XR로 교육, 관광 분야에서 사회에 일조하고 싶습니다. 교육·문화·관광과 디지털 헬스케어 양대 축으로 유니콘 기업으로 발돋움하기를 바랍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