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제약/의료/건강

셀트리온, 3분기 역대 최대 매출·영업이익…유한양행 앞질러

4분기에도 제약·바이오 업계 1위 유력

 

 

 

셀트리온이 제약·바이오 업계 매출 1위 자리 굳히기에 들어갔다. 그동안 1위를 유지해온 유한양행의 실적을 크게 웃돌면서 바이오가 전통 제약사를 추월했다.

 

셀트리온은 연결 기준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2453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138%가량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9일 공시했다.

 

매출은 5488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90% 증가했다. 순이익은 1758억원으로 185% 늘었다.

 

이로써 매출액과 영업이익 모두 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이번 3분기 실적은 바이오의약품 시장 확대와 위탁생산(CMO) 매출이 늘어나고 생산 효율성이 개선된 덕분이라고 회사는 설명했다.

 

실제로 셀트리온의 바이오시밀러는 유럽과 미국에서 시장 점유율을 지속해서 확대하고 있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아이큐비아(IQVIA)와 셀트리온헬스케어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기준 유럽 시장에서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램시마 55%, 트룩시마 37%, 허쥬마 16%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세계 최대 의약품 시장인 미국에서도 마찬가지다. 의료정보 제공기관 심포니헬스(Symphony Health)에 따르면 올해 3분기 기준 화이자(Pfizer)를 통해 판매 중인 램시마(미국 판매명 인플렉트라) 11%, 테바(TEVA)를 통해 판매중인 트룩시마가 20%의 점유율을 달성했다.

 

기존 바이오시밀러의 안정적인 판매와 더불어 정맥주사(IV) 제형의 램시마를 피하주사(SC) 제형으로 개발한 램시마SC가 본격적인 판매에 들어간 것도 실적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줬다.

 

램시마SC는 류머티즘 관절염에 이어 지난 7월 성인 염증성 장질환, 크론병, 궤양성대장염 등으로 치료범위를 넓히며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공급량이 증가하면서 매출 신장에 기여했다고 셀트리온은 설명했다.

 

셀트리온에서 위탁생산(CMO)한 테바(TEVA)의 편두통 치료제 '아조비' 공급 물량도 늘었다. 아조비 CMO 공급계약은 계약총액 1156억원 중 이번 분기에만 465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매출 신장과 함께 1공장 증설 시설이 본격적으로 가동돼 생산 효율성이 개선되면서 수익성 또한 개선됐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코로나19 유행 상황에도 불구하고 해외서 판매되는 바이오의약품의 글로벌 수요 확대에 따른 공급 증가 등으로 올해 3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크게 성장했다"며 "코로나19 항체치료제와 후속 바이오시밀러 파이프라인 개발에도 속도를 내 지속적인 성장을 이룰 것"이라고 말했다.

 

셀트리온의 올해 3분기 누적 매출액은 1조2373억원으로, 기존 업계 매출 1위인 유한양행의 3분기 누적 매출액(1조1285억원)을 넘겼다. 올해 4분기에 이변이 없다면 셀트리온이 제약·바이오 업계를 통틀어 연간 매출 기준 1위 자리에 새로 오를 전망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