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사회일반

고용보험 가입자 증가 폭 코로나19 전 수준 회복… 음식·숙박업 피해는 지속

구직급여 지급액은 9946억원, 6개월 만에 1조원 밑으로

고용보험 가입자수 및 증감 추이 /고용노동부
권기섭 고용노동부 고용정책실장이 9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10월 고용행정 통계로 본 노동시장 동향을 발표하고 있다. /뉴시스

고용보험 가입자의 증가 폭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직전인 올해 2월 수준으로 회복했다. 정부의 일자리 사업으로 공공행정 부문 가입자는 급증한 반면, 사회적 거리두기의 직격탄을 맞은 업종 피해는 여전한 것으로 나타나 경기회복의 신호로 보긴 어렵다는 해석이 나온다.

 

9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10월 노동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고용보험 가입자는 1423만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36만4000명(2.6%) 증가했다. 월별 증가 폭을 보면 올해 2월(37만6000명) 수준을 거의 회복했다.

 

고용보험 가입자의 월별 증가 폭은 올해 3월 25만3000명으로 크게 떨어졌고, 5월에는 15만5000명까지 내려앉았으나 그 이후 꾸준히 회복세를 보이는 상태다. 고용보험 가입자 증가세는 서비스업 가입자가 지난달 984만명으로, 1년 전보다 39만3000명(4.2%) 급증한데 따른 것이다. 서비스업 중 공공행정 부문 가입자만 19만9000명 증가해 월별 증가 폭으로는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공공행정 부문 가입자는 정부와 지자체의 일자리 사업에 따른 것이다.

 

반면, 숙박·음식업의 고용보험 가입자는 2만2000명 감소해 감소 폭이 9월(1만3000명)보다 커졌다. 지난 8월 중순을 기점으로 한 코로나19 재확산의 고용 충격이 숙박·음식업을 중심으로 지속되는 모양새다.

 

도매업 고용보험 가입자 역시 1만2000명 줄었다. 반면 소매업은 홈쇼핑 등 비대면 소비 확산에 따라 1만6000명 늘었다.

 

국내 산업의 허리인 제조업의 고용 부진 역시 지속됐다. 제조업의 지난달 고용보험 가입자는 352만5000명으로 1년 전보다 4만5000명(1.3%) 줄었다. 제조업 월별 고용보험 가입자는 작년 9월부터 13개월째 마이너스(-)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주력 산업인 전자·통신업(-6000명), 자동차업(-8000명), 조선업을 포함한 기타 운송장비업(-7000명) 모두 고용보험 가입자가 감소했다. 전자·통신업과 자동차업의 감소 폭은 9월보다는 축소됐다.

 

연령대별 고용보험 가입자 증감을 보면, 60세 이상에서 23만8000명 급증했고, 50대(+12만6000명)와 40대(+5만1000명) 증가했다. 29세 이하(+3000명)도 올해 2월 이후 8개월 만에 플러스로 돌아섰다. 이는 '청년 디지털 일자리'를 포함한 정부의 일자리 사업 영향으로 보인다. 30대의 경우 5만4000명 줄어 마이너스를 이어갔다.

 

실업자의 구직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고용보험기금으로 주는 구직급여의 10월 지급액은 9946억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3143억원(46.2%) 증가했다. 월별 구직급여 지급액은 코로나19 사태 이후 증가해 지난 5월 처음으로 1조원을 넘은 데 이어 5개월 연속으로 1조원을 웃돌았지만, 6개월 만에 1조원 아래로 떨어졌다. 지난달 구직급여 신규 신청자는 8만8000명으로, 1년 전보다 5000명(6.0%) 증가했다. 구직급여 수급자는 64만3000명으로, 21만5000명(50.2%) 증가했다.

 

노동시장 동향은 상용직과 임시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실시되므로 특수형태근로종사자, 프리랜서, 자영업자 등은 제외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