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사회일반

8월 항만 수출입 물동량 19.7% 감소… "코로나19 영향 지속"

8월 항만 수출입 물동량 19.7% 감소… "코로나19 영향 지속"

 

주요 항만별 8월 물동량 /해수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지난달 국내 항만 수출입 물동량이 20% 수준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양수산부는 8월 전국 무역항에서 처리한 항만 물동량이 총 1억1734만 톤으로 전년 동월(1억 4343만 톤) 대비 18.2% 감소했다고 20일 밝혔다. 이 가운데 수출입 물동량은 세계적인 수요 감소에 따라 유류 물동량이 감소하고 철광석 가격 급등에 따른 재고 조정, 발전용 연료(유연탄 등) 수입 감소 등으로 전년 동월(1억2560만 톤) 대비 19.7% 감소한 총 1억81만 톤으로 집계됐다.

 

수출입물동량은 올해 5월 1억248만 톤(12.2%↓), 6월 9827만 톤(19.2%↓), 7월 1억246만 톤(17.2%↓) 등으로 코로나19 이후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연안 물동량은 유류, 광석, 시멘트 등의 물동량 감소로 전년 동월(1783만 톤) 대비 7.3% 감소한 총 1653만 톤이었다.

 

항만별 처리화물 중량 역시 감소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부산항은 컨테이너 화물 중량(내품)의 감소세에 따라 전년 동월보다 물동량이 크게 감소(-24.0%)했고, 광양항(-18.4%), 울산항(-14.4%), 인천항(-6.3%) 물동량도 감소했다.

 

품목별로 보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유류(원유, 석유정제품, 석유가스 등)와 광석, 유연탄, 기계류는 전년 동월 대비 각각 18.6%, 13.2%, 15.0%, 29.7% 감소했다.

 

전국 항만의 컨테이너 처리 물량은 전년 동월(242만TEU) 대비 3.9% 감소한 232만 TEU를 기록했다. 수출입은 전년 동월(137만TEU) 대비 4.3% 감소한 131만 TEU를 기록했고, 환적은 전년 동월(104만TEU) 대비 3.2% 감소한 100만 TEU를 기록했다.

 

화물이 실린 적(積) 컨테이너와 비어있는 공(空) 컨테이너 처리 실적은 각각 2.9%, 8.4% 감소했다. 컨테이너 화물 중량 기준(컨테이너 안에 실제로 적재돼 있다고 신고된 화물의 양)으로 지난달 처리량은 4029만 톤으로 23.1% 줄었다.

 

항만별로 보면, 부산항은 수출입과 환적 모두 중국을 제외한 미국과 일본 등 교역 상위 국가들의 물동량 감소에 따라 전년 동월(183만TEU) 대비 5.6% 감소한 173만 TEU를 기록했다. 광양항도 전년 동월(19만4000TEU) 대비 14.9% 감소한 16만5000 TEU로 집계됐다. 반면, 인천항은 연초 중국과 베트남 등 신규항로를 개설한 효과가 지속돼 전년 동월(24만9000TEU) 대비 10.3% 증가한 27만4000 TEU를 기록했다.

 

국내 전국 항만의 비컨테이너 화물 물동량은 총 7705만 톤으로 전년 동월(9105만 톤) 대비 15.4% 감소했으며, 광양항과 울산항, 평택·당진항 등 대부분 항만에서 감소세를 보였다.

 

항만별로 광양항은 14.4% 감소한 1908만 톤, 울산항은 14.8% 감소한 1431만 톤, 인천항은 16.2% 감소한 705만 톤으로 각각 집계됐다. 광양항은 약 60% 비중을 차지하는 석유화학 관련 물동량이 감소했고 철강제품의 수요 감소, 제품 생산 소재인 광석(철광석, 기타광석) 및 유연탄 물동량이 줄었다. 울산항은 국제 수요 감소에 따른 액체화물(원유, 화학공업생산품 등) 물동량 감소, 해외 자동차 공장 정상화 지연에 따른 차량용 부품 수출 감소의 타격을 받았다.

 

품목별로 유류는 국제 수요 감소에 따른 석유제품 물동량 감소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8.5% 감소한 3346만 톤으로 집계됐다. 광석은 철광석 가격 급등에 따라 수입물동량이 감소해 12.8% 줄어든 1180만 톤, 유연탄은 15.0% 감소한 1043만 톤, 자동차는 18.3% 감소한 508만 톤으로 집계됐다.

 

한편, 세계 10대 주요 컨테이너항만의 7월 총 물동량은 글로벌 컨테이너 운송시장의 회복세와 중국항만의 반등 영향에 따라 전년 동기 대비 증가로 반등했다. 상하이항이 390만 TEU(전년 동월대비 1.3%↑)를 처리해 세계 1위를 유지했고, 이어 싱가포르항(301만TEU, 6.8%↓), 닝보-저우산항(271만TEU, 8.0%↑), 선전항(240만TEU, 5.7%↑), 광저우항(212만TEU, 9.8%↑), 칭다오항(188만TEU, 4.4%↑) 순으로 많았다.

 

해수부 김준석 해운물류국장은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영향이 지속되고 있어 당분간 수출입 물동량의 감소세가 유지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한편, 글로벌 컨테이너 운송시장 회복 동향이 파악되는 만큼, 비대면 마케팅을 적극 확대하고 항만별로 다양한 유인책을 통해 물량을 유치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