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Fun&Joy>사주

[김상회의 사주속으로] 마리아와 관세음보살

image

세상의 모든 어머니는 위대하다고 했건만 일련의 아동학대에 관한 뉴스들을 보다 보면 모성(母性)도 사람 나름인가 보다. 어머니라고 다 같은 어머니가 아니며 현대에 있어 자식에 대한 무조건적인 사랑과 헌신은 옛 얘기인 것 같다.

 

요즘은 결혼도 안하려 들지만 해도 아이는 낳지 않겠다고 선언하는 커플도 많다고 한다. 세상살이가 만만치 않고 경제적으로도 비용도 녹녹치 않기 때문에 부부 중심의 생활을 지향하는 풍조 때문이란다. 사회상과 가정에 대해 가치관이 달라진 것을 여기서도 확연히 느낄 수 있다.

 

사람으로 살아가면서 가장 무조건적인 사랑을 느끼고 베풀 수 있는 존재는 자기 새끼에 대한 본능적인 애정이다. 부성애도 지극하다고 말할 수 있지만 어머니의 자식에 대한 모성애를 능가하긴 쉽지 않다. 역학적으로는 아버지와 자식의 관계는 에너지의 조합으로 보자면 편관이자 칠살이라는 이름으로 나타나고 어머니에게 있어 자녀는 상관(傷官)이 된다.

 

상관은 어머니의 남편인 아버지 자리를 힘들게 하는 위치를 점하는 것이다. 이래저래 편관 칠살과 식신상관이 일맥상통하는 바가 있다. 정(精)의 기운으로 보자면 자녀의 입장에서 어머니는 한없이 사랑을 베풀고 생해 주는 인수(印綬)가 말 그대로 무조건적인 사랑과 기운을 베푸는 자리가 된다.

 

무조건적인 자애한 사랑을 베푸는 정은 종교적으로는 마리아의 마음이며 관세음보살의 자비심이 된다. 기실 갓난아기를 낳아 한없는 자애와 사랑으로 키우다가 어느덧 아이들이 장성하게 되면 부모들은 자식들에 대한 집착이 발동하게 된다.

 

또한 자신의 못다 이룬 꿈을 대신 성취해주는 부모 삶의 대리자로 삼고자 한다. 이럴 때는 마리아도 아니요, 관세음보살의 마음도 아닐 것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