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금융일반

코로나로 인플레이션?…고삐풀린 유동성 주식·부동산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전 세계가 돈풀기(양적완화)에 나서면서 증시와 부동산이 들썩거리고 있다. 경기를 부양하겠다며 풀린 유동성이 실물경제가 아니라 주식 등 자산시장으로만 흘러들어간 탓이다. 전례없는 위기에 개인과 기업 모두 최소한의 필수적인 소비와 투자에만 돈을 쓰고 나머지는 저축하거나 투자자산에 묶어두고 있다.

 

대대적인 인플레이션이 예고됐지만 경기 회복을 알리는 실물 인플레이션이 아니라 주식과 부동산 등 자산 인플레이션이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코스피 지수는 지난달 26일 2000선을 돌파하고, 지난 8일에는 장중 2200선도 넘어섰다. 코로나19가 재확산될 수 있다는 우려에 하락세로 돌아섰지만 여전히 2100선을 웃돌고 있다.

 

문제는 증시를 끌어올린 배경이 실적이 아니라 유동성이란 점이다. 국내 증시가 급락할 때마다 개인들이 대규모 순매수에 나서면서 코로나19 공포감으로 급락한 저점 대비 상승률은 코스피가 49.3%로 사상 처음으로 1만선을 돌파한 나스닥(42.6%)을 웃돈다.

 

코스닥의 상승세는 더 가파르다. 언택트(비대면)와 바이오 관련주가 급등하면서 저점 대시 상승률은 무려 80%에 달한다. 세계 주요지수와 비교해도 수위권이다.

 

증시가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회복하자 이번엔 넘치는 유동성이 부동산 시장을 흔들고 있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난 8일 기준 서울 아파트값은 지난주 대비 0.02% 상승했다. 상승세로 돌아선 것은 3월 둘째 주(0.02%) 이후 13주 만이다. 특히 강남 4구는 0.02% 올라 1월 둘째 주 이후 4개월 만에 상승 전환했다. 유동성의 힘이 고가아파트에 대한 초강력 대출규제와 보유세 강화를 뛰어 넘었다.

 

서울 뿐만이 아니다. 경기 지역 아파트값과 지방 아파트값도 각각 0.19%, 0.06% 올라 지난주보다 상승 폭을 키웠다.

 

자산시장 과열의 원인은 코로나19 사태를 극복하기 위해 내놓은 통화·재정정책이다.

 

한국은행은 코로나19 사태 이후 두 달 새 기준금리를 0.75%포인트나 인하했다. 현재 기준금리는 연 0.5%로 사상 최저수준이다.

 

정부 역시 코로나19 대응책으로 175조원 상당의 금융시장 안정방안을 포함한 총 250조원 규모의 지원 대책을 내놨다. 기업과 가계 역시 서둘러 자금 확보에 나서면서 4월 통화량(M2·광의통화)은 3018조6000억원으로 사상 처음으로 3000조원을 넘어섰다.

 

DB금융투자 박성우 연구원은 "정부가 민간의 소득을 지원해 주고 있지만 개인과 기업은 전례없는 위기를 겪었기 때문에 불확실성 대처 차원에서 지출보다는 예비적 동기의 저축수요가 늘 것"이라며 "과거의 유동성 투입이 그랬듯이 향후에도 돈은 실물보다는 투자자산 위주 중심으로 흘러갈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실물경제의 성장 잠재력 저하라는 구조적 요인은 코로나19 이후 더 악화됐다. 결과적으로 코로나 이후에도 디플레이션(Deflation·지속적 물가 하락으로 인한 장기 침체) 기류는 이어지고 자산시장만 들썩일 것이란 얘기다.

 

박 연구원은 "무한한 유동성 상황에서 돈의 물꼬가 흘러갈 가장 낮은 곳은 자산시장"이라며 "늘어난 부채 부담을 상쇄시키기 위한 인위적·자연적 저금리가 이어질 것이고, 저금리와 양적완화는 채권금리를 낮은 수준으로 유지해 결국 현금흐름 자산인 주식과 부동산 등의 매력을 높였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일부에선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유동성에 의한 주식, 부동산 등 자산시장 강세가 급격히 꺾일 수 있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한국은행은 최근 내놓은 보고서(해외경제포커스)에서 코로나19 진정 이후 국제기구·선진국 중앙은행의 유동성 회수과정에서 국제금융불안과 같은 '의도치 않은 결과(unintended consequences)'가 나타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지난 2007년 글로벌 금융위기 극복 과정에서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유동성을 회수할 때 신흥국을 중심으로 주가급락 등 금융불안이 일어났었는데, 이 같은 상황이 반복될 수 있다는 것.

 

한은은 "주요 신흥국을 대상으로 리스크를 점검해본 결과 단기간내에 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은 높지 않다"면서도 "코로나19 진정 이후에도 신흥국에서 현실화될 수 있는 리스크가 상존함에 따라 예의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