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Fun&Joy>사주

[김상회의 사주속으로] 수승화강(水升火降)

image

계절마다 찾아 먹는 제철 음식은 사계절의 변화에 맞춰 가장 좋은 기운이 응축되어있는 음식이다. 말하자면 자연의 선물이다. 사람이든 동물이든 자연의 흐름에 따라 살아가면 몸에 질병이 생기지 않는다. 그런데 사람들이 사는 모습은 자연의 흐름을 따라가는 것과 크게 달라졌다.

 

여름에 조금만 더워도 에어컨을 켜고 겨울에 혹한이 몰아쳐도 집안에서 반소매를 입고 생활한다. 이런 생활습관은 자연을 거스르는 것인데 여름에는 더위를 타기도 하고 겨울에는 추워도 보는 게 자연의 흐름이다. 그렇다고 옛날처럼 어두워지면 잠자고 철 따라 자연에서 나는 음식을 먹자는 게 아니다.

 

자연의 흐름에 맞춰서 사는 게 건강에 좋다는 것이다. 동의보감을 보면 수승화강(水升火降)을 강조하고 있다. 수승화강은 물처럼 찬 기운은 위로 보내고 불처럼 뜨거운 기운은 아래로 내리라는 의미이다. '머리는 시원하게 하고 발은 따뜻하게' 하라.

 

인체는 열이 위쪽으로 모이고 찬 기운이 아래로 모인다. 열이 모인 위쪽을 뜨겁게 하거나 찬 기운이 모인 아래쪽을 차게 하면 병이 생기기 마련이다. 같은 기운은 피하고 서로 다른 기운을 조화시켜야 몸이 원활하게 움직인다. 이는 음양의 조화로 사주에 오행이 어느 한쪽으로 크게 치우친 사람들은 수승화강의 원리를 신경 써야 한다.

 

오행의 조화를 맞추는 노력을 기울여야 건강문제로 고생하지 않는다. 수승화강을 무시하면 불안 증세나 어지러움이 생기고 불면증을 겪는다. 위쪽은 차갑게 아래쪽은 따뜻하게 해서 몸의 조화를 맞추면 건강이 좋다. 자연과 함께 산다고 하면 뭔가 대단한 걸해야 하는 것처럼 들리겠지만 여름엔 조금 덥게 겨울에 조금 춥게 생활하며 몸을 적응시키면 된다.

 

자연의 흐름, 음양의 조화를 맞추는 건 그래서 중요하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