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Fun&Joy>사주

[김상회의 사주속으로] 반면교사

image

필자의 지인 중의 K 여인은 인상도 좋고 말투도 모가 나지 않는다. 호감을 주는 용모며 말본새 역시 부드럽다. 그런데 자기 주머니에서 돈이 나가질 않는다. 주변 사람들은 호감을 주는 인상의 소유자인지라 처음에는 스스럼없이 커피도 사고 밥도 사기를 주저하지 않았다.

 

자신도 자기가 먼저 사달라고 하지도 않았으니 별로 미안해하는 기색도 없다. 젊은 시절에는 더더욱 인물이 좋았던 지라 남자들은 후딱 하면 호의를 베풀고, 여자 선배 지인들도 K 여인을 껴서 골프도 나가고 하면 모임이 더 화색이 돌곤 했던 지라 항상 여기저기서 초청이 많았다.

 

그녀는 자신으로 인해 빛나고 즐거워지는 것도 사실이라 느끼기에 남이 돈을 내도 별로 미안해하는 기색도 없다. 호의를 즐길 줄 아는 것이다. 그러나 호의를 즐길지라도 그녀에겐 원칙이 있다. 싼 데는 가지 않는다. 본인이 돈을 내지 않음에도 가려고 하는 곳이 좀 실비집 스타일이면 "거긴 가기가 좀 그렇다." 하며 대놓고 거절한다.

 

그리고 주변에 자신을 예뻐하면서 물질을 잘 푸는 노보살들을 잘 따르기도 하니 여자가 됐건 남자가 됐건 이래저래 여유가 있는 사람들과 인간관계를 맺고 있다. 이러한 속내까지 꿰고 있는 유일한 절 도반은 스스로 선하다고 생각하는 K 여인을 보며 염치가 없다고도 느끼지만, 세속적 관점으로는 지혜로울 수도 있겠다, 라는 생각이다. 그러면서 K 여인이 잘하고 있는 처신인지 필자에게 묻는다.

 

K 여인은 자기 자신이 참으로 지혜롭다고 생각할 것이다. 필자는 답했다. "그 또한 자기 재산이니 신경 쓰지 마세요." 그렇다. 굳이 남을 논하는 것도 내 시간 낭비가 되는 것이다. 누군가의 행동에 그저 반면교사(敎師)로 삼으면 될 일이다. 살아가면서 어디 어디 한두 가지겠는가? 처처가 모두 나의 스승이고 가르침이 되는 것을.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