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텔사회 Hotel Express 284'에서는 경성의 중앙역이자 옛 서울역이었던 지금의 문화역서울284가 호텔 284로 탈바꿈한다. 이번전시는 근대 개항기에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호텔문화가 도입되고 확산되면서 정착하는 과정과 오늘날, 호텔이 지닌 생활문화플랫폼으로서의 다층적 면모들을 살펴보고자 하는데 의의가 있다. / 사진 = 이민희 기자
'호텔사회'기획전이 문화체육관광부 주최,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문화역서울 284 주관으로 3월 1일 까지 문화역서울284(옛서울역 역사)에서 열린다.
'호텔사회'는 철도교통과 함께 발달한 문화역서울 284(옛 서울역)가 가진 기능적 공간의 교차지점에서 전시·공간 작품을 통해 호텔이 미치는 사회문화적 영향력을 살펴보는 방식으로 구성되었고, 공간의 구분에 따라 전시를 볼 수 있도록 마련됐다.
문화역서울284에 입장하면 처음 마주하게 되는 건 '익스프레스 284 라운지'다.
중앙홀에 들어서면 거대한 화강석 기둥 사이로 고급호텔 로비를 연상케 하는 대형 계단이 보인다. 레드카펫을 깔아놓은 듯한 붉은색 계단과 커튼 뒤로 음료 등을 즐길 수 있는 라운지 공간이 준비되어 있다.
'호텔사회'는 로비, 라운지, 객실, 수영장 등 호텔 속 상징적 공간에 기능적 속성을 교차시키며 여행, 여가, 유흥, 식문화 등 서구 새로운 문화 도입과 확산과정을 보여준다.
객실 안쪽 '202호실: 문'은 호텔 공간 속 다양한 문들을 촬영한 영상들이 계속 상영된다. 202호실에선 김노암, 신나라 씨가 호텔 공간 속 다양한 문들을 촬영한 영상이 나오고 박준혜 작가가 설치한 프리저브와 나뭇가지 소재들이 바닥에 자연스레 흩어져있고 양쪽 벽엔 어두운 나무색을 연상케하는 브라운 천으로 천장부터 바닥까지 길게 늘어뜨려져 영상에 더 집중할 수 있게 해주며 들어서는 순간부터 자연스러운 허브와 플라워향이 독특하고 그 공간에 더 머무르고 싶어지게 만든다.
객실 '205호실: 호텔, 루시드 드림', 여행객들은 각자의 시간대에 기억과 흔적을 남긴다. 호텔은 마치 우리가 루시드 드림(자각몽)처럼 깨어 있는 정신상태에서 꿈을 꾼다는 것을 알려주는 특별한 장소다. / 사진 = 이민희 기자
이번 전시에 참여한 박준혜 작가는 "호텔공간 속 다양한 문들을 촬영한 영상들이 상영되고 겹겹이 반복되는 문들의 열리고 닫히는 모습을 통해 객실이라는 새로운 영역으로 진입하는 구간들을 보여주고 나아가 호텔의 또 다른 차원으로 진입하는 듯한 경험을 제공한다"고 말했다.
객실 '205호실: 호텔, 루시드 드림'은 20~21세기 호텔을 둘러싸고 펼쳐지는 수많은 차원의 시간여행자들 이야기를 타임캡슐인 호텔 입장에서 재 해석한 설치작품이다. 노마드 시대 오아시스 같은 호텔 컨셉으로 연출된 곳으로 한수지, 이경민, 박준혜 작가가 참여했고, 영상엔 김기노, 김노암, 신나라, 임지연, 박겸숙 씨 등이 참여했다.
이 밖에 '오아시스-풀·바·스파', '이발사회', '여행·관광 안내소', '호텔사회 아카이브', '그릴 홀', '살롱 도뗄', '에이-멜팅 팟' 등 호텔 각 공간 곳곳에 전시되어있다. 관람객들은 우리나라 호텔 역사와 문화를 담아내는 아카이브는 물론 과거와 현재, 미래 시공간을 넘나들며 먹고 마시고 즐기고 잠드는 융합 장소로서 호텔만이 가진 고유한 문화들을 살펴보고 체크아웃 할 수 있는 특별한 경험치를 갖는다는 의미다.
이번 전시에는 서울 웨스틴조선호텔, 그랜드 워커힐 서울 더 댈리, 더 플라자호텔 블랑제리, 롯데호텔, 워커힐호텔앤리조트, 그랜드 앰배서더 서울 풀만 등 호텔들이 협력했고 롯데칠성, BM상사, 시몬스 침대 등이 협찬사로 참여했다.
또한 건축, 설치, 사진, 영상, 회화 등 예술작가 약 50여명과 파주타이포그라피학교, 푸하하하 프렌즈 등 공간기획사가 참여해 호텔과 예술의 혼합으로 새로운 전시기획의 장을 펼쳤다는 평이다.
3월 1일까지 전시가 이어지고 오전 10시부터 오후 7시까지 무료관람이다. 매주 월요일은 휴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