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 교통비를 30% 이상 절약할 수 있는 '광역알뜰교통카드'의 시범사업 규모가 확대된다.
올해 시범사업에서는 기존 선불카드 방식을 후불카드로 바꾸고, 전국 어디서나 한 장의 교통카드로 이용할 수 있도록 호환성을 높였다.
국토교통부는 7일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이 같은 내용의 '광역알뜰교통카드 2.0' 설명회를 열고, 올해 시범사업 참여 지자체를 공모한다고 밝혔다.
광역알뜰교통카드는 문재인 정부의 100대 국정과제 중 하나로, 대중교통 이용 전후에 걷거나 자전거를 타면 그 이동 거리만큼 마일리지를 적립해주는 제도다.
정기권 카드가 교통비 정액보다 10% 할인된 금액으로 판매되고 보행·자전거로 쌓은 마일리지를 통해 최대 20%까지 추가로 할인해줘 최고 30%까지 교통비를 절감할 수 있다.
국토부는 지난해 세종·울산·전주시에서 체험단과 일반 국민이 참여하는 시범사업을 진행해 불편 사항을 분석해 개선안을 만들었다.
업그레이드된 광역알뜰교통카드는 한 장의 카드로 전국 어느 곳에서나 사용하도록 호환성이 강화됐다. 기존에는 시범사업 지역에서만 사용이 가능했다.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거나 광역버스 등 더 비싼 요금의 교통수단을 이용할 때는 별도의 교통카드로 결제해야 했지만, 이제는 환승 시에도 한 장의 카드를 계속 사용하면 된다.
번거로운 충전 방식이나 선불 부담도 없어진다.
이전에는 지정 충전소를 찾아가 직접 월 5만5000원 수준의 선불보증금을 먼저 내야 했다. 정기권 특성상 기간 내 사용하지 못하면 잔액이 소멸되기도 했다.
이번 시범사업에서는 신용카드사 등과 제휴한 후불교통카드 방식으로 바꾸고, 스마트폰 앱을 작동하면 교통카드 없이도 버스나 지하철을 이용할 수 있게 한다.
마일리지 적립을 위해 스마트폰 앱으로 인증 절차를 거쳐 단계마다 인증 버튼을 눌러야 했던 방식도 개선했다. 출발지와 도착지를 미리 설정해 놓으면 대중교통 이용 실적을 토대로 자동으로 마일리지를 쌓아준다.
할인 혜택도 늘린다. 신용카드사, 지자체, 기업체와 협업을 통해 차량 2부제에 참여하거나 대중교통 이용 실적이 많은 시민은 이에 비례해 추가로 교통비를 할인해준다. 이렇게 되면 기존 할인혜택에 더한 '30%+α' 혜택이 가능해진다.
또 교통유발부담금에 대한 공제제도를 신설해 민간 기업과 종사자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국토부는 이달 개선된 광역알뜰교통카드 시범사업 지원 지자체에 대한 심사를 거쳐 다음 달 대상 지자체를 선정하고 상반기 안에 시범사업을 시작할 계획이다.
이 카드는 이르면 내년 전국적으로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국토부는 전망했다.
강주엽 국토부 교통정책조정과장은 "광역알뜰교통카드가 국민 교통비 부담을 줄이고 대중교통 이용을 활성화하는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