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직임원 170명 중 1명만 여성…공공기관 '여성비중 20%' 허상되나
국내 공기업의 현직 임원 170명 가운데 여성 임원은 단 1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오는 2020년까지 공공기관 임원의 여성 비중을 20%까지 높이겠다고 제시한 목표에 턱없이 못 미치는 수준이다.
13일 메트로신문이 공공기관 경영정보공개시스템 알리오에 공시된 임원현황을 집계한 결과, 시장형·준시장형 공기업 36곳 중 여성 임원이 있는 곳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 한 곳 뿐이다.
전체 임원 수로 따져보면 총 380명(공석 제외) 중 남성이 91.3%(343명)를 차지하고 있다. 여성 임원은 9.7%(37명)에 그쳤다.
유일한 현직 여성 임원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장옥선 상임이사다. LH는 지난해 1월 56년 역사상 처음으로 여성 임원인 장 상임이사를 선임했다.
LH는 전체 임원 15명 중 3명이 여성으로, 여성 임원이 가장 많은 곳 중 하나다. 한국수자원공사, 한국지역난방공사도 여성 임원이 각각 3명으로 집계됐다. 이어 한국공항공사, 한국중부발전, 그랜드코리아레저, 한국감정원, 한국도로공사, 한국철도공사에 여성 임원 각각 2명이 근무 중이다.
여성 임원이 한 명도 없는 기업은 11곳이나 된다.
강원랜드, 부산항만공사, 인천항만공사, 한국광물자원공사, 한국남동발전, 한국석유공사, 한국수력원자력, 여수광양항만공사, 에스알, 주택도시보증공사, 한국전력기술주식회사 등엔 남성 임원만 있다.
현직 임원만 따지면 여성 임원 비율은 더 낮아진다.
비상임이사를 제외한 상시업무 임원 전체 170명 중 여성 임원은 1명뿐이다. 비율로 따지면 0.58%로 전체의 1%도 넘지 못했다.
현직 임원이 없다는 것은 '임원 후보'가 없다는 뜻이기도 하다. CEO(최고경영자) 자리를 꿰차려면 임원 사다리부터 올라야하는데, 여성 임원 대부분이 비상임이사로 있어 향후 승진이나 CEO 선임 등을 노리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따라 정부의 '여성 유리천장 해소' 목표에도 적색등이 켜졌다는 우려가 나온다.
정부는 지난해 정부 합동으로 '공공부문 여성대표성 제고 계획'을 세우고 오는 2022년까지 공공기관 여성임원을 20%로 늘리겠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오히려 민간기업보다도 정책 실현에 뒤처지는 모습이다. 스코어데일리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국내 30대 그룹 256개 계열사의 여성 임원 비율은 3.1%(9727명 중 299명)로 조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