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성이 지난 29일 마포 본사에서 개최한 'MIT 산학연계프로그램 세미나'에서 라파엘 고메즈-밤바렐리 교수가 빅데이터와 AI를 활용한 신소재 개발에 대해 강의하고 있다./효성
효성이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 연구진과 함께 혁신기술 기반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발굴에 나선다고 30일 밝혔다.
효성은 전날 마포 본사에서 MIT 교수진과 글로벌 스타트업 기업 6곳이 참여한 가운데 'MIT 산학연계프로그램(ILP) 세미나'를 개최했다.
MIT ILP는 글로벌 기업들과 MIT 연구진이 비즈니스 협력 관계로 상생하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MIT는 참여 기업에 정보통신기술(ICT)·신소재·첨단제조·헬스케어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결과 등을 소개하고, 기업은 MIT 연구진과 지속해서 기술·정보를 교류한다. 국내에선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LG, 두산중공업 등이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다.
세미나에는 MIT 재료과학공학부의 폴리나 아니키바(Polina Anikeeva) 교수와 라파엘 고메즈-밤바렐리(Rafael Gomez-Bombarelli) 교수 등이 참석해 각각 '인공 근육과 스마트섬유',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신소재 개발' 등을 주제로 강연했다.
또 세미나에 참석한 테크 스타트업 6곳도 각각 자신들이 개발 중인 첨단 기술을 소개했다. '프리보 테크놀로지스'는 구강암, 뇌종양 등 특정 암세포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약물 전달 플랫폼을 소개했다. AI(인공지능) 전문기업 '어펙티바'표정·맥박수 등을 감지해 빅데이터로 분석하는 기술을 설명했다.
효성은 이번 MIT 산학연계프로그램과 세미나가 조현준 회장의 기술경영 철학에 따라 실시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효성티앤씨㈜는 효성ITX와 IoT(사물인터넷) 기술과 빅데이터 분석, 스마트 센서 등 ICT 기술을 접목해 제조공정의 품질 결함을 즉각적으로 발견하고 문제에 대응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효성중공업㈜에서도 ICT 기술을 접목한 변전소 자산관리솔루션(AHMS Asset Health Management Solution)을 개발하고 빅데이터 기술로 설비의 이상 징후를 사전에 포착할 수 있게 했다.
조 회장은 "미래에는 기술의 혁신과 더불어 경계를 구분하지 않는 기술 융합이 성장 동력의 중요한 축이 될 것"이라며 "향후 세계 최고 석학 및 연구진들과 정기적으로 세미나를 개최해 트렌드를 앞서나갈 기술 교류를 지속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