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주택 인·허가, 착공, 분양 모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 시장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며 전체적으로 부동산 시장이 위축된 모양새다.
30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작년 주택 인허가 물량은 55만413가구로 전년(65만3441가구)에 비해 15.2%, 최근 5년 평균(62만37가구)보다는 10.6% 줄어들었다.
작년 인허가 물량의 감소는 지난해 9·13 대책 등 부동산 규제로 주택 시장이 위축됐고 2015~2017년 인허가 물량 증가에 따른 기저효과가 발생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수도권은 28만97가구로 전년에 비해 12.9% 감소했고 지방은 27만4039가구로 17.5% 줄어들었다.
특히 서울의 경우 인허가 물량이 6만5751가구로 전년보다 41.9% 줄었다.
2017년에는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 시행을 앞두고 서울에서 재건축 인허가 물량이 쏟아졌으나, 작년엔 재건축 규제 등으로 정비물량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규모별로는 60㎡ 이하 소형 주택이 최근 5년 평균 대비 3.5% 증가했다. 반면 중형(60∼85㎡)과 대형(85㎡ 초과)은 각각 18.6%, 16.3% 감소했다.
지난해 전국 주택 착공 물량도 전년(54만4274가구) 대비 13.5% 감소한 47만706가구로 집계됐다.
수도권은 25만7939가구로 전년 대비 7.0%, 지방은 21만2767가구로 20.3% 감소했다.
전국 공동주택 분양(승인) 물량도 28만2964가구로 전년보다 9.3% 줄어들었다.
수도권은 14만9147가구로 7.0%, 지방은 13만3817가구로 11.7% 감소했다.
일반분양은 17만433가구로 전년보다 20.1% 줄었으나 조합원분은 4만7861가구로 8.2% 늘었다.
지난해 전국 주택 준공 물량은 62만6889가구로 전년 대비 10.1% 증가했고 최근 5년 평균(47만4199가구)에 비해 32.2% 늘어났다.
작년 준공 물량은 정부가 2005년 준공물량 통계를 집계한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준공 물량은 지난 2014년 이후 연평균 50만가구 이상 착공되면서 준공물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수도권은 32만8525가구로 전년보다 16.7%, 지방은 29만8364가구로 3.7% 증가했다.
아파트는 48만277가구로 23.2% 늘었지만 아파트 외 주택은 14만6612가구로 18.2%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