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업계

[주간아파트 가격동향]서울 11주째 내리막길…"고가아파트가 하락세 견인"

서울 주요지역 주간 매매가겨격 변동률./부동산114



서울 아파트값이 11주째 내리막길을 걷고 있는 가운데, 9억원 이상 고가(高價) 아파트의 하락세가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9일부터 1월 25일 현재까지 11주 동안의 서울 아파트값 누적 변동률은 -0.23%로 집계됐다.

금액대별로는 9억원 이하 아파트가 0.50% 오른 반면 9억원이 넘는 고가 아파트는 0.81% 떨어졌다. 고가 주택시장이 9.13 대책에 따른 담보대출 제한과 보유세 인상의 직접적인 타격을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이번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은 -0.06%로 지난주와 같았다. 재건축 아파트는 0.28% 하락해 주간 변동률로는 지난 2016년 12월(-0.29%) 이후 가장 큰 폭으로 빠졌다. 이밖에 신도시와 경기·인천은 각각 0.07%, 0.02% 떨어져 하락폭이 커졌다.

신도시는 위례(-0.27%), 분당(-0.11%), 동탄(-0.11%), 김포한강(-0.07%) 등이 내림세를 나타냈다. 위례는 수요자들이 청약시장으로 몰리면서 기존 아파트값이 약세를 보이고 있다. 장지동 송파푸르지오가 2000만~2500만원 떨어졌다. 분당은 야탑동 장미현대가 500만~1000만원 하락했고 동탄은 1지구 중심으로 가격이 조정되면서 청계동 시범우남퍼스트빌이 500만~1500만원 내렸다.

경기·인천은 광명(-0.15%), 안산(-0.15%), 이천(-0.11%), 양주(-0.10%) 등이 하락했다. 광명은 철산동 주공12단지 매매시세가 1000만~2500만원 빠졌다. 안산은 신규 입주물량 영향으로 구축 아파트들이 약세를 보였다. 선부동 군자주공11단지가 500만원, 고잔동 주공8단지가 1000만~1750만원 떨어졌다.

수도권 매매-전세 주간 가격 변동률./부동산114



전세시장은 서울이 -0.16%로 집계돼 전주(-0.10%)보다 하락폭이 더 커졌다. 신도시와 경기·인천도 약세가 지속되며 각각 0.12%, 0.07% 떨어졌다.

서울은 ▲강남(-0.41%) ▲성북(-0.37%) ▲동작(-0.36%) ▲관악(-0.32%) ▲중구(-0.26%) ▲광진(-0.25%) 등이 전셋값 하락세를 주도했다.

강남은 방학 이사수요가 예년에 비해 줄어든 가운데 대치동 대치아이파크 전세금이 2500만원 내렸고 일원동 루체하임도 5000만원 떨어졌다. 동작은 매물이 적체되면서 사당동 극동, 신동아4차 등이 500만~3000만원씩 하락했다.

한편, 지난 24일 올해 표준단독주택 공시가격이 발표되면서 매수 관망세는 지속될 전망이다. 2019년 표준단독주택 공시가격은 서울이 17.75% 급등했고 전국적으로도 9% 넘게 올라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부동산114 김은진 팀장은 "종부세 세율과 공정가액비율이 인상된 데다 공시가격까지 큰 폭으로 오르면서 보유세 부담이 커지게 됐다"며 "집값 상승 동력을 잃은 상황에서 투자심리는 더욱 위축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현금 보유력이 떨어지는 주택 보유자들의 처분 매물이 나올 가능성이 있어 수요는 줄어든 가운데 매물은 더 늘어날 전망"이라며 "쌓이는 매물과 짙어진 매수 관망세로 가격 약세가 더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