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거시경제 지표 등의 발표가 금융시장에서 거래되는 옵션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9일 BOK경제연구 '거시경제지표 공표가 옵션가격의 일중 내재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2006년 1월~2008년 8월)보다 위기 당시(2008년 9월~2010년 12월)와 그 이후(2011년 1월~2014년 6월)에서 거시경제지표 공표가 변동성에 미치는 영향이 더 컸다.
보고서는 "위기 시와 그 이후 전반적인 시장위험이 증대되면서 시장 참가자들이 공적지표에 내재된 정보에 전보다 민감하게 반응한 결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통화정책(기준 금리) 결정사항 및 주요 거시경제지표(국내총생산, 실업률, 무역수지, 소비자물가지수, 광공업생산지수) 공표가 종합주가지수(KOSPI200) 옵션의 변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2006년 1월~2014년 6월 동안 일중(분 단위) 데이터를 이용해 분석했다.
분석 결과 거시경제 지표 공표 시점에 뉴스효과 등으로 주가지수 옵션의 내재변동성이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표시점 15분 전후에도 내재변동성이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보고서는 "거시경제지표 등과 같은 공적정보가 발표되기 직전과 직후에 금융시장이 반응한다는 점은 동 정보가 시장참가자의 기대형성과정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또 거시경제지표 등의 공표가 변동성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는 옵션유형, 금융위기 전후, 거시경제지표 종류, 기준금리 변동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는 "거시경제 지표 등의 공표 시 풋옵션의 내재변동성(공포지수)이 콜옵션의 내재변동성(탐욕지수)에 비해 크게 증가한 것은 시장참가자들이 좋은 뉴스보다는 나쁜 뉴스에 보다 민감하게 반응함을 의미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