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람인, 직장인 615명 설문조사
직장인들이 예상하는 현 직장 근무 가능 나이 /사람인
기업 실적악화와 불안정한 고용형태 등으로 인해 직장인 10명 중 7명은 자신의 고용에 불안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9일 사람인이 직장인 615명을 대상으로 '고용 불안감'에 대해 설문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70.6%는 본인의 고용 상태에 불안감을 느낀다고 답했다. 이는 지난해 7월 같은 조사 결과보다 7.6%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연령대별로는 40대(83.3%), 30대(74.9%), 50대(68.6%), 20대(60.7%) 순으로 고용 불안감이 높았고, 재직중인 기업 형태별로는 중소기업(71.8%), 중견기업(67.3%), 대기업(66.7%) 순으로 불안을 느끼는 비율이 높았다.
직무별로는 ▲광고·홍보(80%) ▲기획·전략(77.1%) ▲제조·생산(74.3%) ▲영업·영업관리(73.5%) ▲IT·정보통신(73.3%) 등 분야 종사자가 불안감을 많이 느낀 반면, ▲재무·회계(65.1%) ▲디자인(65.8%) ▲연구개발(66.7%) 등은 상대적으로 불안감을 가지는 비율이 적었다.
이들은 고용 불안감을 느끼는 이유(복수응답)로 '회사의 경영실적이 좋지 않아서'(37.1%)를 가장 많이 꼽았고, '회사 재정 상태가 좋지 않아서'(29%), '고용형태가 불안정해서'(25.8%), '회사의 평균 근속연수가 짧아서'(22.1%), '업무 성과가 떨어져서'(12.4%) 등을 들었다.
고용 불안감이 직장 생활에 미치는 영향(복수응답)은 '이직 및 퇴사를 고민함'(69.6%)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업무 의욕이 떨어짐'(64.3%), '자기계발을 하게 됨'(27.6%), '업무 성과가 감소함'(15.9%), '야근 등을 늘림'(6.5%), '경쟁심이 늘어 동료와 거리가 멀어짐'(4.4%) 등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중 84.9%는 '현재 직장에서 정년까지 다니지 못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들이 예상하는 현 직장 근무 가능 나이는 평균 40.9세로 집계됐다. 현 직장 근무 가능 나이는 구간별로, '35세 이하'(43.4%), '36~40세'(20.9%), '46~50세'(15.1%), '41~45세'(10.7%), '51~55세'(6.5%) 등의 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