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화물 운반 장비와 '모바일 파워카트', '스마트 파워캐리어' 비교./국토교통부
물류현장에서 무거운 짐을 쉽게 운반할 수 있도록 돕는 전동카트가 개발됐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2014년부터 지난해까지 진행한 국가 연구개발(R&D) 프로젝트로 '모바일 파워카트'와 '스마트 파워캐리어'를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이 프로젝트에는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삼미정보시스템, 웨이브엠, 평택대, 서울농수산식품공사, 한양대 등이 참여했다.
모바일 파워카트는 작업자의 골격을 인식해 자동으로 작업자를 따라다니며 최대 250㎏ 화물을 운반하는 장비다. 사물을 정밀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첨단 센서가 부착됐다.
기존 제품은 바닥에 그어진 선이나 표시 등을 따라 움직이는 식으로 작동하지만, 이 제품은 사람의 골격을 인식해 움직여 별도의 추가 시설 설치 없이 바로 현장에 투입이 가능하다. 제자리에서 360˚ 회전이 가능해 규모가 작은 물류창고에도 사용하기 쉽다.
해외에서 만든 유사제품 가격(3800만원) 대비 절반 이상 저렴한 1500만원에 개발됐다. 기존 자동운반장비와 달리 추반 기반시설(인프라) 구축도 필요 없다.
스마트 파워캐리어는 작업자가 탑승해 장비를 조종하면서 최대 200㎏ 화물을 운반할 수 있는 탑승형 전동 장비로, 해외 유사제품이 없이 국내에서 최초로 개발됐다.
이 장비는 좁은 공간에서 방향전환이 자유로워 소량·다품종 제품의 운반에 적합하다. 공장 창고나 도매시장 등에서 폭넓게 활용할 수 있다.
가격도 약 330만원으로 저렴한 편이다. 이 장비는 이미 농협 하나로마트 등 실제 물류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모바일 파워카트와 스마트 파워캐리어는 업체별 실정에 맞게 개조나 응용이 가능하도록 개발돼 현장 적용이 쉬울 것으로 기대된다"며 "물류 노동환경 개선을 위한 장비 개발과 보급을 위해 계속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